Shaming And Questioning of Historical Consciousness 부끄러움 또는 질문하는 역사의식 6<은우근 교수>

Photo from Google Images

<Gwangju : Prof. Woogeun Eun>

7) “살아남은 자들은 부끄러워 고개를 들지 못했다.” :  마지막 가두 방송과 최후의 저항 (5월 26일 밤-27일 새벽)

5월 26일 17시,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은 외신 기자들과 마지막 인터뷰에서 침착하게 말했다. ‘우리는 최후까지 싸울 것이다.’ 19시 10분 시민군은 계엄군이 당일 밤 침공할 가능성이 크다고 공식 발표하고 어린 학생과 여성들을 귀가 시켰다. 이날 밤 24시, 광주 시내의 전화가 일제히 두절되었다. “우리가 여기서 싸우다 죽으면 어차피 씻겨 줄 사람도 없을 텐데, 일단 목욕이나 하자. 죽음을 각오하고 목욕하고 속옷을 갈아입고 차분히 마지막 전투를 맞이했다.”

5월 27일 새벽: 아무도 잠들지 못했다. 아니, 차라리 잠들고자 했다. 죽음도 어차피 잠자는 것이니까…, 도청 앞으로 모여주기를 호소하는 여성의 애끓는 가두방송은 칠흙 어둠이 뒤덮은 이 거리, 저 거리에서 메아리쳤다.

갑자기 여자의 목소리가 정적을 때뜨렸다. … 그녀의 목소리는 캄캄한 도시에 울려 퍼지고 있었다. 이 아가씨가 애띤 목청으로 소리치는 동안 울려 나온 말들은 동일하게 반복되면서 하나의 비명, 하나의 부르짖음이 되어… 끊임없이 이어졌다. 무슨 말일까? 지금이 마지막이다! 골자는 틀림없이 이것이었다…. 시민들에게… 합류하라고 호소하는 내용이… 아닐까? 나는 귀를 기울였다. 그리고 기다렸다. 열리는 문소리, 길거리를 대닫는 발소리는 전혀 들리지 않았다. 광주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간 것일까? 집안에 들어앉아 문을 걸어 잠그고 있었다. 문고리를 푸는 소리, 거리에 걷는 발자국 소리는 어디에서도 들리지 않았다. … 아무것도….(Hebrt Scott Stokes, NYT Seoul correspondence )

‘시민 여러분 도와주세요! 공수부대가 오늘 밤 도청을 함락합니다.’ 라는 가두방송을 듣는데 가슴이 찢어지는 느낌이었다. (당시 교사 박행삼의 증언) “전투를 하면서도 빨리 날새기를 기다렸다. 날이 밝으면 시민들이 모여들고 그러면 계엄군이 진입하지 못할 것이다. 내 생애에서 가장 긴 밤이었다. (당시 시민군 상황실장 박남선의 증언) ” 잠을 들지 못했다. … 도청쪽에서 방송이 들려왔다. ‘시민들은 나와달라! 계엄군이 광주 시내로 진입하고 있다’는 말을 들을 때 뛰어나갈 용기라 나지않아… (당시 광주대교구 관리국장 박상수의 증언)

“도청 청년들 최후다. 그들은 모두 죽는다” 엉엉 울었다. 신자도 울고, 나도 울고..탈진하여 사제관에서 잠이 들었다 다시깼고, 마지막 가두방송을 들었다. ‘시민 여러분! 계엄군이 탱크를 앞세우고 광주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은 도청으로 모여 주십시오. 어서 도통으로 모여 총을 나눠서 도청을 사수합시다….(당시 계림동 성당 주임 조철현 신부의 증언) 새벽 3시경 시민군 가두방송을 들었다. “광주 시민 여러분! 광주시내 전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 계엄군이 시내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 우리 학생들을 살립시다.” … 뼈를 깍는 듯한 애절한 절규에 시민들은 흐느꼈다. (윤공희 주교 외)

” 5월 26일 가두방송차량 운전원이 고향인 목포에 데려다 주겠다고 했지만 사양했다. 설마 모두 죽이기야 하겠느냐고 생각했다. 칠흙 어둠이 뒤덮은 거리를 승용차로 돌며 방송했다. ‘시민 여러분! 도청 앞으로 모여주세요. 계엄군이 쳐들어 옵니다. 우리를 죽이려고 합니다.’ 라고 다급하게 호소했다. 나는 이미 며칠간 밤낮으로 헌혈을 호소하는 가두방송을 계속해왔고, 시민들의 반응도 뜨거웠었다. 시민들은 내 목소리를 알고 있었다. 방송을 듣고 많은 시민이 모일 것이라고 확신했다. 어쩌다 주택가 창문으로 세어나온 불빛이 꺼지는 것을 보며, ‘집 밖으로 나오기 위해 불을 끄고 있구나’ 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도청에 돌아와 아무도 모이지 않았음을 확인했을 때, 살 떨리는 배신감을 느꼈다.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외로움과 막막함, 허전함이 밀려왔다.’ (은우근 교수, 이경희 학생 인터뷰 (2012.5.10)

계엄사는 새벽 3시 30분 군 병력을 광주 전역에 투입하여 5시 10분 경 시내 일원을 완전히 장악했다. 만일 20만 명의 시민이 10일간 금남로에 계속 모일 수만 있었다면, 5월 민중항쟁의 결과가 바뀌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시민들은 ‘도청에 나가야 하는데, 그 사람들 지금 죽어가고 있을텐데, 내가 나가야 하는데…’ 라고 마음속에서 외쳤을 뿐 집을 나설 수는 없었다.(주: 계엄군은 25일 도청에서 일어난 ‘독침사건’에서 보듯이 오열을 침투시켜 민중 내부에 불신과 공포를극대화시키는 고도의 심리전을 전개하고 있었다.)

5월 27일 새벽 가두방송이 거리에서 울려 퍼질때, 문을 걸어 잠그고,이불을  뒤집어 쓰고 어둠 속에서 숨죽이고 있었던 민중은 마지막 순간 예수를 부인한 베드로의 심정이었다. ‘살아남은 자들은 부끄러워 고개를 들 지 못했다.(주: 김준태의 시,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참조. 이 시는 5월 민중항쟁이 진압된 직후인 6월 2일에 지어졌다.

순수하고 순결했던 생명 공동체, 하지만 그것은 결코 완전하거나 영원한 것은 아니었다.

5월 민중은 두려움 속에 있었다. 하지만 그 두려움을 떨칠 수 있었다. 왜? 하나가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두려울 수 밖에 없다. 왜? 하나됨이 영원히 지속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 현실은 두려움이 지배하고 있었다. 5월 민중은 목숨을 건 투쟁을 통해 공포를 극복하고 하나됨의 신비와 환희를 체험했지만 죽음의 두려움을 완전히 극복하진 못했다. 생명공동체적 연대의 감격과 환희가 강렬했던 만큼 부끄러움과 죄책감, 부채 의식도 더 강하게 자각되었다.

5월 26일 밤 -27일 새벽 사이의 시민군 가두방송은 5월 민중항쟁의 집단 정서로서 죄책감의 형성에 아주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주: 가두방송은 아주 중요한 사건이었지만 지금까지 5.18 연구에서 비중있게 다뤄지지 않았다.)

5월 민중이 80년 5월 22일 공수부대를 시내에서 몰아내고 공유했던 해방감과 환희는 죄책감으로 변화되었다.

 

To be continued~~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7,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nfirm that you are not a bot - select a man with raised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