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ret behind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the Cover-Up by Japanese Politicians <이선훈 박사: 일본에서 일본을 논하다>

<Japan : Prof. Lee, Sunhoon>

역사를 왜곡하고 은폐하는 일본 정치가들의 일면을 고발합니다.

일본의 시민단체가 9월 1일 동경도 스미다구 (東京都墨田区) 의 동경도립 요꼬아미쪼우 (横網町) 공원에서 개최하는 ‘관동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 에, 고이께유리꼬 (小池百合子) 동경도지사가 동경도지사의 이름으로 추도문을 송부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지금까지 역대의 동경도지사들은 추도문을 보내는 것을 관례로서 행해 오고 있었음에도 고이께 동경도지사는 이런 관례를 무시하는 결정을 하였습니다. 이에 대해서 8월 25일의 정례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은 그 이유를 추궁하였습니다.

회견에서 고이께 동경도지사는 관동대지진 (1923년)이 발생한 9월 1일과 동경대공습 (1945년) 이 있었던 3월 10일에 요꼬아미쪼우 공원 내에 있는 동경도위령당에서 매년 행해지고 있는 ‘조난자위령대법요’ 에 동경도지사가 출석하는 의미에 대해서, “지금까지 동경도지사로서 관동대지진에서 희생된 모든 분들에게 추모의 뜻을 표하고, 모든 분들에 대한 위령을 행해왔다. 이번에는 모든 분들에 대한 법요 (불교식의 추도의식) 를 행한다는 의미에서 특별한 형식의 추도문을 송부하지는 않았다’ 라고 밝혔습니다.

일본정부의 중앙방재회의가 2009년에 정리해서 발표한 관동대지진에 관한 보고서에서는 사망과 행방불명자가 10만 5천명을 넘으며, 이중에서 희생된 조선인은 수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들 조선인 희생자의 대부분은 학살에 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8월 25일의 회견에서는 보도진이 “민족차별이 배경이 되어 발생된 불행한 비극에 관한 추도사를 발표하는 것이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가?” 라는 질의에 대해서 고이께유리꼬 동경도지사는 “민족차별이라는 관점이라기 보다는 재해의 피해, 각종의 피해에 의해서 사망한 분들에 대해서 위령을 해야만 할 것이다” 라고 자신의 견해를 밝혔습니다.

또한, 지난해 2016년에는 추도문을 송부하였지만, 2017년에는 방침을 바꾸어 추도문을 송부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고이께 동경도지사는 “작년에는 관례적이고, 사무적으로 송부했으며, 그 내용을 명확히 파악하여 이번에는 동경도지사 자신이 판단하여 송부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보도진은 “작년에 추도문을 송부했다는 것을 알지 못했는가?” 라고 계속적으로 질문했고, 이에 대해서 “그와 같은 메시지는 여기저기서 제기되었다. 알고 있었는가? 알지 못했는가? 그리고 문제가 있는 것인가? 문제가 없는 것인가? 하는 것인가에 관한 문제점은 있는 것을 생각한다” 라고 명확한 회답을 회피했습니다.

추도문의 송부를 중지한 것에 의해서 “조선인이 학살당했다는 사실이 부정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염려가 일고 있다는 질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역사적인 인식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관동대지진이라고 하는 매우 커다란 재해, 그것에 이은 사정에 의해서 희생된 분들에 대해서 위령하는 마음은 변함이 없다” 라고 덧붙였습니다.

‘관동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은 매년, 조일협회 (朝日協会), 중일우호협회 (中日友好協会) 등이 주최해서 동경도립 요꼬아미쪼우 공원에서 행해져 왔습니다. 추도식에 관해서는 이시하라신따로 (石原慎太郎氏), 이노세나오끼 (猪瀬直樹), 마쯔조에요우이찌 (舛添要一) 등의 역대 동경도지사들이 ‘지사’ 의 이름으로 추도문을 송부해왔습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이시하라신따로는 한국에서는 일본의 극우성향의 정치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이께유리꼬 동경도지사도 2016년에는 ‘많은 재일 조선인분들이 언급조차되지 않은 피해를 입어, 희생된 사건은 일본의 역사 중에서도 매우 드문 것으로 보이며, 매우 뼈아픈 일이다’ 라는 내용을 포함한 추도문을 주최측에게 송부했습니다. 한편, 2017년에는 주최측이 추도문의 송부를 동경도에 요청했지만, 담당하는 동경도건설국이 송부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렇게 역대 동경도지사가 관례로서 해오던 추도문의 송부를 거절한 배경에는 지난 3월의 동경도의회의 일반질문에서 행한 자민당소속의 동경도의원의 질문에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닌가 하고 필자는 추론해봅니다. 자민당의 고가토시아끼 (古賀俊昭) 동경도의원이 3월의 일반질문에서 ‘관동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 에 추도문을 송부하는 것에 관해서 고이께 동경도지사에게 견해를 물었습니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가 동경도의원은 요꼬아미쪼우 공원에 있는 ‘조선인의생자비’ 에 ‘잘못된 책동과 유언비어에 의해서 6천여명이 넘는 조선인이 귀중한 생명을 빼앗겼다” 라고 적혀 있는 것과 함께 추도식의 주최단체의 안내문에 학살의 희생자수가 6000여명 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거론하며, “근거가 희박한 수” 라고 비하했습니다. 또한, “유언비어에 관해서도 당시의 일본의 치안상황을 파악해야만 한다. 사회분위기와 치안상황 중에서 일본인 자경단이 과민해져서, 관계 없는 조선인까지 휩쓸려서 살해되었다는 것이야말로 공평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는 동경도의 자세이며, 동경도를 대표하는 지사가 역사를 왜곡하는 행위에 가담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후에는 추도사를 발신하는 것은 재고되어야만 할 것이다’ 라고 고이께 동경도지사에게 강요했습니다.

이러한 고가 동경도의원의 질문에 대해서 고이께 동경도지사는 “매년 관례적으로 송부해왔습니다. 이후에는 제 자신이 면밀히 검토해서 적절히 판단할 것” 이라고 답변하며, 추도문의 송부를 중지할 것이라는 것을 예견하게 했습니다.

추도식을 주최하는 시민단체 등의 실행위원회는 8월 26일, 고이께 동경도지사의 추도문 송부중지결정에 항의하는 성명을 8월 25일자로 발표했습니다. 성명문에서 주최측은 관동대지진 시에 발생된 재일 조선이에 대한 학살의 사실을 외면하고 은폐하려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역사수정주의, 배척주의의 흐름을 추종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웃 국가들과 세계의 엄격한 비판이 비등해지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는 등의 내용으로 고이께 동경도지사를 비판했습니다.

헤이트 스피치 (Hate speech) 에 관한 저술가로도 알려져 있는 저널리스트 야스타고오이치 (安田浩一) 는 “자연재해와는 다르며, 데마 (Demagogie: 사실에 반하는 선동적이고 모략적인 선동행위) 에 의해서 많은 사람이 살해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은 성격이 다르다. 따라서 역대 동경도지사도 독자적으로 추도문을 송부했던 것이 아닌가” 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동경도에서 발생된 ‘관동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 에 대한 고이께유리꼬 동경도지사의 추도문송부의 금지는 일본의 정치인들이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여 일본사회를 우경화하고 있는 매우 심각한 상황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녀상’ 문제로 대두된 일본군 종군위안부의 존재를 부정하고, 일제 군국주의에 의한 식민지배는 미개한 주변국을 발전시킨 원동력이 되었다고 왜곡하는 등의 일본의 부끄러운 역사적 사실들을 은폐하고 왜곡하는 행위는 일본 자민당을 중심으로 점점 가속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런 일본정치인들의 행위는 평화헌법을 개정하여 허약해진 경제상황을 군국주의의 부활로서 국민의 시선을 돌려 정치적 권력을 유지하려는 수단에 불과한 것으로 이것이 현재와 같이 심화되어 간다면 동북아시아의 주변국가는 물론이고 일본국민에게도 엄청난 희생이 요구될 것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도 이명박과 박근혜 정권의 9년간 일본과 같이 역사를 왜곡하기 위해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시도하였고, 일본의 극우성향의 정치가들과 같이 일제식민지배를 미화하고, 일본종군위안부의 존재를 부정하고, 심지어는 ‘소녀상’의 철거를 일본의 아베와 밀약하기까지 했습니다.

역사를 왜곡하고 은폐하는 것으로 역사의 부끄러운 부분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부끄러운 역사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반성함으로 잘못된 역사가 되풀이 되는 치욕적인 상황을 재현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슬기롭고 정직한 진정한 민주국가를 만들어 가는 기본입니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7,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nfirm that you are not a bot - select a man with raised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