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태식 교수 그림)
사유思惟의 풍경風景, 탄생
풍경에서 산수山水, 새로운 문인화
오태식 교수 개인전이 오는 6월 13일 부터 19일까지 동덕아트 초대전으로 열린다.
[ Oh Tae-Sik 10th Solo Exhibition 2018 ]
– 전시기간 : 2018년 6월 13일(수)~6월 19일(화)
– 전시장소 : 동덕아트갤러리 C홀
– 오프닝 : 2018년 6월 13일(수), 오후 5시~6시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우정국로 68 동덕빌딩 지하 1층
– 전화 : 02-732-6458
– Site : www.gallerydongduk.com
제목에서처럼 그림 앞에서 눈 길을 돌릴 수 없는 묘한 끌림이 있다. 그것이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다.
하얀 여백과 저 멀리로 보이는 능선을 따라 굽이굽이 산길이 시절을 따라 피고 졌던 기억이 아른하게 떠 오르기 때문이다. 세월들 안에 담겨 있었을 풍경과 추억을 잠시 되 새겨보는 시간, 그 안에서 현재와 과거, 그리고 미래를 생각하게 해 주는 그림, 동양적인 담묵화적인 기법으로 표현된 흑.백의 시공간의 과거와 현재, 하얀 여백은 관객의 몫으로 남겨놓은 깊은 배려, 그것은 분명 또 하나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리라.
이원복(李源福, 부산박물관장, 미술사) 추천서에서 “장우성(張遇聖,1912-2005) 화백은 1955년 ‘동양문화의 현대성’에서 문인화를 “티 하나 없는 천진天眞의 발로여야 하며, 눈에 보이지 않는, 그리고 귀에 들리지 않는 형이상의 아름다움, 즉 함축과 여운의 미”라 정의했습니다. 옛 그림 아닌 오태식 작품에서도 이를 공감합니다.” 라고 썼다.
이원복 부산 박물관장은 “작가는 ‘제가 그린 풍경은 우연에서 찾는 필연으로 실존하지 않는 풍경’이라 힘주어 말합니다. 이는 이상화된 자연경인 관념산수와 직결됩니다. 아울러 표현방식에서도 캔버스 위에 스프레이로 물을 뿌린 후 물감이 자연스레 번지게 해 했고, 거친 결은 생명력의 호흡을 표현하기 위해 기성 붓이 아닌 수수 빗자루 붓을 직접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엄밀히 말해 이런 시도는 그가 처음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가 전통 붓을 잡았고, 서예를, 캘리그라피를 시도한 점이 그의 작품에 끼친 영향에 주목하게 됩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그에게서 관념 산수와 통하는 새로운 문인화의 모습을 읽습니다. 자신감 넘친 푸른색은 ‘조선의 화상畫聖’ 정선鄭敾(1676-1759)에 이어지며, 분방한 필치는 취화사 장승업張承業(1843-1897)의 여운을 보입니다. 문학적 자질에 타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특별한 제한 없이 주관대로 관념의 세계를 자유롭게 양식에 구애됨 없이 화면에 전개한 일련의 오태식 작품에서 우리 그림, 한국화의 현주소와 미래를 봅니다. ” 라고 오태식 교수의 개인전을 소개했다.
오태식(아호: 우탁) 교수의 순수 미술에 대한 열정과 그의 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는 미술이란 장르로 오랜 숙성의 시간을 걸쳐 우리곁에 온 어쩌면 우리 어머니들의 깊은 장맛 처럼 은근하고 깊은 맛을 내는 동양적인 서양화 또는 동양과 서양이 잘 어우러진 조화의 미학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는 시를 쓰는 시인이다. 그는 시를 쓰듯 그림을 그린다. 펜이 붓이되고, 노트가 캔버스가 되어 색깔을 섞거나 배열하여 형용사적인 문구를 더 하는 것이 시와 그림의 합일성이라고 본다. 주어와 목적어가 될 나와 당신의 사유의 풍경은 무슨 색깔을 띠고 있으며,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 지 살펴보는 귀한 시간이 되시길 바란다. 시를 쓰는 시인은 물론이며, 그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화가 지망생, 또는 화가들도 오태식 교수의 이번 개인전에서 많은 영감과 감동을 받길 바라는 바이다.
오태식 교수는 현재 두원공과 대학교에서 재직중인 건축디자인과 교수다.
사유思惟의 풍경風景, 탄생 은 우리 내면속에 잠재되어 있는 시간과 그 시간속에 축적된 생각의 DNA를 따라가는 여행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끝엔 분명 밝은 미래와 희망이 ‘탄생’이란 이름으로 파란 새싹으로 어둠을 박차고 뛰쳐 나올 것이다.
Oh, Tae-sik P r o f I l e -2018 |
오 태 식(吳 泰 植)
1992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과 졸업
1996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디자인과 졸업
| 수 상 |
2004_ 제 23회 대한민국미술대전 디자인 부문 特選
2005_ 커뮤니케이션 아트 어워드 優秀賞
2006_ 제 25회 대한민국미술대전 디자인 부문 特選
2011_ 유나이티드문화재단 우수작가상
2013_ 월간 문학저널 신인문학상 수상
| 전시 |
개인전 10회 및 국내외 단체전 250여회
| 경 력(심사 및 운영위원) |
(사)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일러스트레이션분과 이사 역임
(사)경기디자인협회 사무총장 및 부회장 역임
사)한국미술협회 경기도지회 디자인분과 분과위원장 역임
(사)한국미술협회 수원지회 이사역임
대한민국미술대전 디자인부문 심사위원 역임 외 다수
| 현 재 |
_ 두원공과대학교 건축디자인과 교수
_ 사)한국미술협회원, 수원미술협회원
_ 홍익시각디자이너협회원
_ 경기미술대전 디자인 부문 초대작가
_ 대한민국미술대전 디자인부문 초대작가
_ 담코아트 전속작가
_ 시인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