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 Prof. Kim, Kwangsik(정치평론가, 21세기한국연구소 소장)
자유한국당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자유한국당은 물론이고, 현재 보수세력의 재편 움직임이 옛여권(자한당, 바른정당)과 국민의 당에서 모두 시작되고 있다. 일단 자한당에 남아 있는 두 세력이 알력이 심각할 지경에 이르렀다.
홍준표 자한당 대표가 서청원 의원과 최경환 의원을 두고 “후만무치한 사람들”이라고 표현했다. 지난 22일 홍준표 대표의 공식 블로그에는 “서청원과 최경환은 후안무치한 사람들. 박근혜 팔이로 자기 영달에 몰두했던 사람들”이라는 내용의 글이 게재됐다.
서청원 의원은 22일 기자회견을 통해 “홍준표 대표가 ‘성완종 리스트’에 대해 검찰 수사 과정에서 협조를 요청한 일이 있다”라고 밝혔다. 이에 홍준표 대표는 “나는 다른 친박들 살릴려고 박근혜 정권이 사건을 만들어 1년 6개월 고통을 받았던 소위 성완종리스트의 최대 피해자입니다”라는 글을 22일 페이스북에 게재했다.
홍준표 대표는 22일 페이스북을 통해 그동안 서청원 의원 측근들이 홍준표 대표를 찾아와 “그를 출당시키면 폭로할듯이 협박하고 그 전화 녹취록이 있다고 하면서 검찰총장, 대법원장에게 진정서를 제출하여 매장 시키겠다고 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홍준표 대표 측은 “서청원, 최경환 의원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다. 이들은 2012년 총선 당시 공천 파동을 주도했던 핵심 인물이었다”라고 밝혔다. 이어 “박근혜 정부의 실패에 무한 책임을 져야 할 사람들”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지금으로서는 결과를 예상하지 못할 한판 승부가 여권내에서 벌어지고 있다. 자유한국당 ‘친박근혜계 청산‘을 두고 홍준표 대표와 서청원–최경환 의원 간의 갈등이 첨예하다. 청산 대상으로 지목된 두 의원은 홍준표 대표에게 사퇴를 요구했고, 홍준표 대표는 반격에 나섰다.
홍준표 대표는 23일 미국 방문을 앞두고 인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 윤리위원회의 ‘탈당 권고‘ 조치에 불복한 서청원, 최경환 의원에 대해 “6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을 팔아서 호가호위했던 분들”이라며 “탄핵 때는 숨어 있다가 자신들의 문제가 걸리니 이제 와서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좀 비겁하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표는 서청원, 최경환 의원이 자신과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당 윤리위원회의 ‘탈당 권유’ 결정에 반발하는 데 대해서도 “그분들이 그렇게 말하려면 박 전 대통령의 탄핵을 막았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최경환 의원은 지난 10월 20일 당 윤리위원회가 자신에 대한 ‘탈당 권유’ 결정을 내리자,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리위원회 결정은 원천 무효이며, 당연히 취소돼야 마땅하다”며 “당을 사당화해가는 홍준표 대표의 즉각 사퇴를 요구하며, 앞으로 이를 위해 끝까지 싸워 나갈 것”이라고 반발했다.
서청원 의원도 지난 2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홍준표 대표는 (성완종 리스트에 올라)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대법원의 최종심을 기다리는 처지인데, 이런 상황 자체가 야당 대표로서 결격 사유”라며 “당과 나라를 위해 홍 대표 체제는 종식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청원 의원은 특히 “홍준표 대표가 성완종 사건 검찰 수사 과정에서 나에게 협조를 요청한 일이 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그러자 홍준표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성완종 리스트) 사건 수사 당시 서청원 의원에게 전화해 ‘나에게 돈을 주었다는 윤모 씨는 서 대표 사람 아니냐, 그런데 왜 나를 물고 들어가느냐, 자제시켜라’라고 요청한 일이 있다”며 “협박만 하지 말고 녹취록이 있으면 공개해서 판단해보자”고 맞섰다. 홍준표 대표는 서청원, 최경환 의원을 두고 “폐수를 깨끗한 물과 같이 둘 수는 없다”며 “노욕, 노추로 비난받지 마시고 노정객답게 의연하게 책임지고 당을 떠나시라”고 요구했다.
홍준표 대표가 두 의원과 전면전을 펼치는 것은 지금 바른정당에 속해있는 김무성 등 통합파를 염두에 둔 행보이다. 하지만 홍 대표가 두 의원의 극렬한 저항에 맞닥뜨린 것 또한 홍준표 대표가 자초한 측면도 없지는 않다. 앞서 당 윤리위원회는 ‘친박 청산’을 염두에 두고 지난 1월 서청원–최경환 의원에게 ‘당원권 3년 정지’ 결정을 내렸다. 그때 홍준표 대표 본인이 ‘대선 비상 상황’이라는 이유로 사면한 바 있다. 대선 후보였던 홍 대표가 대선을 앞두고 ‘친박계 표’를 얻고자 화해를 택했던 것이다.
친박근혜계와 관계 설정에서 홍준표 대표는 이후에도 오락가락 행보를 보였다. 자유한국당은 10월 11일 ‘박근혜 전 대통령은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사실상 당론으로 채택하며 ‘도로 친박당’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였다.
친박 청산에 소극적이었던 홍준표 대표는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간 통합 논의가 진척되면서 갑자기 태도를 바꿨다. 최근 바른정당 내에서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중 어느 정당과 통합할지를 놓고 노선 싸움이 벌어지자, 홍준표 대표는 지난 20일 “(국민의당–바른정당) 양당의 통합은 보수 우파, 진보 좌파 양 진영과 영호남 양 지역에서 모두 배척받는 기형적인 정당이 될 것”이라고 견제구를 날렸다.
같은 날 자유한국당 윤리위원회는 박근혜 전 대통령, 서청원, 최경환 의원에 대한 ‘탈당 권유’ 결정을 내렸고, 홍준표 대표는 ‘친박 청산’ 카드를 꺼내들며 “(보수 우파 통합을 위해) 이제 우리는 박근혜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필자는 야권의 행보와 관련한 시나리오를 개진해 보았다.
첫 번째는 박근혜계가 퇴진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2012년 총선 때의 공천권 파동과 탄핵 때의 문제 등을 예로 든다. 둘째, 홍준표 대표가 대표직을 사임해야 한다는 논리도 있을 수는 있다. 이것은 공천권이 위로 가서는 곤란하다는 진실을 내포한다. 셋째 당원을 쥐고 있거나, 또는 당권을 취었던 친박계가 모두 물러나야 한다는 입장을 취할 수도 있다. 넷째, 현재 ‘개혁보수’ 세력의 핵심인 바른 정당내의 유승민 의원은 친박과 비박 사이에서 더 확실한 선을 그어주어야 한다. 이때 바른정당은 자한당을 ‘수구체력’이라고 보고 있다.
진정한 민심에 기초한 정당세력을 보았을 때, ‘국민소환제’를 채택하고 거기에 따른 의원구성의 사례를 정확하게 읽어 보아야 한다. 그러나 정국의 발전은 아직 거기까지 도달하지는 못했다. 다만 그 고비를 넘고 있다는 점은 분명히 인정해야 한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7,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