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General

A Cup of Poem~~증도 해변에서/김호천

(Photo from Bing Images)

증도대교 건너 해변
전망이 좋은 리조트
‘엘도라도‘를 찾다.
셋째딸 내외, 외손자와 다시 찾은
오래 전에 다녀갔던 곳
여장을 풀고 해변을 거닌다.

부드러운 감촉의 금모래 너른
병풍처럼 산이 에워싼
아늑한 호수 같은 바다.
유월초 바다는 한산하다.
외손자 수영을 배웠다며
바다에 뛰어들고
딸은 아들의 잠수 모습을 담는다.

사위도 아들과 물속에 들고
그늘에 쉬다 아내와 함께
맨발로 해변을 거닌다.
젊은 날의 설렘은 잃었어도
인생 고락을 안고 말없이 걸으면
그리움과 아쉬움을 파도가 밀어온다
다시 찾은 증도가 나를 반긴다.

저녁 놀이 물들고
바다가 물고 있던 해를 삼키면
섬은 어둠 속에 자취를 감춘다.
점점이 불빛이 켜지기 시작하고
안식은 침상에 찾아든다.
싫증 들 때까지 머물고 싶다.

** 김호천 선생님의 “증도 해변에서” 라는 시를 읽으며, 비록 단 한 번도 가 본적이 없는 섬을 눈으로 그려본다. 시를 읽으면 독자는 금새라도 파아란 바닷물속에 발을 담근 채 금 모래 백사장위를 걷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수영하는 ‘외손자’도 ‘유월 초순’의 바다도 모두 한 폭의 풍경화 안에 있는것 같은 착각이 들게 한다.  ‘인생 고락을 안고 … 그리움과 아쉬움을 파도가 밀어온다’ 추억의 시간을 떠 올리며, 독자의 인생을 대입시켜 잠시 생각할 시간을 갖게 한다. 어쩌면 인생이란 한 폭의 그림을 완성해가는, 아무것도 없던 캔버스에 밑 그림을 그리고, 하나씩 꿈을 기워 넣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이 시에서 유월 초는 아직도 인생의 반이 남아 있음을 바라보는 시인의 꿈도 남겨져 있어서 희망적이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손자의 모습을 통해 바라보는 미래가 이 시 한편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그의 말처럼, ‘싫증 들 때까지 머물고 싶다’ 는 바램은 그의 솔직한 독백이요. 우리들의 가슴속에 담긴 언어를 슬그머니 내어 놓으며 정말 그랬으면 하는 짙은 고백이 담겨져 있어 읽고 있는 독자로 하여금 그/그녀 또한 ‘증도’를 찾아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한다. 이 여름에는 너도 나도 ‘증도’에 가면 저 대서양 끝 또는 태평양 끝에서 발을 적시고 있을 그 누군가가 있음을 기억해 주었으면 싶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nfirm that you are not a bot - select a man with raised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