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gnificance of Culture(이강화 교수의 일요 문화 산책)

<Ph D. Lee, Kang Hwa, Gae Myung University>

문화와 예술

그러나 예술은 아름다움의 창작 만은 아니다. 예술은 때로는 미적 즐거움을 방해하는 반미적 인 것, 즉 추한 것을 창작하고 표현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예술적 미의 기준이란 질서, 비례, 균형, 조화, 도덕성 등 이었지만, 고전주의 이후 근대의 낭만주의에 이르러 반역, 모순, 불균형, 무질서 등이, 그리고 현대의 초현실주의에 이르러 광기, 무의미함, 부도덕, 불안, 부조리 등이 새로운 미의 기준으로 등장한다. 침묵이 때로는 하나의 위대한 발언이 되듯이, 추함이 아름다움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표현 적 서술이 될 수 있다. 마치 선과 악이 공존하는 것이 인간의 현실 이듯이 현상의 총체 성을 그려내기 위한 예술 속에도 긍정적인 미와 부정적인 추가 동시에 공존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추가 미적 즐거움을 증가시키고 삶 전체의 생명 감을 고양시킨다 면 이제 더 이상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추가 아니라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미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다. 현대예술의 감상에서 이러한 변증법적인 사고가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데스와르, 우티츠 등에 의해서 예술학 (일반 예술학)의 주장이 제기된 이래로 예술과 미의 관계가 지속적으로 문제시되었다. 이 견해에 의하면 ‘미적’이라는 개념은 예술의 본질규정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술의 창조적인 그리고 형식적인 면에 주목하여 좁은 의미의 ‘미적’ 대신 다소 포괄적인 의미의 ‘예술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자는 것이다. 데스와르에 의하면 미적 관조가 안정된 조화적인 즐거움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반면에, 예술은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즐거움 외에 지식이나 의지가 포함되어있다. 우티츠 역시 미적 관조와 예술활동을 구별하여 전자는 대상이 주는 인상이 감정에 귀의하는 것이지만 후자는 이에 반해 감정 체험의 순수한 형식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예술이 미적 가치 외에 종교적, 정치적, 지적 여러 가치를 실현한다는 사실이 중요한데 이것이 예술이 문화 현상과 연결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상의 논의를 근거로 해서 문화와 예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유사성 으로 첫째, 문화와 예술은 인간이라는 존재가 가지는 특유한 영역이며 소산이다. 즉 둘 다 인간 정신의 고유한 표현방식이다.

둘째, 문화와 예술은 다 같이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에서 파악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그것은 곧 산업개념과 연결되어 문화산업이나 예술산업으로 나아갈 수 있다.

셋째, 문화와 예술은 다같이 개선하고 변형 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찾는 인간의 활동이다.

넷째, 인간은 태어나면서 이미 문화와 예술 속에 던져지는 것이며, 그런 의미에서 문화와 예술은 다같이 인간의 삶의 터전이 된다.

차이성 으로 첫째, 모든 예술은 문화에 포함될 수 있지만, 모든 문화가 예술인 것은 아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넓은 의미의 문화에 포함되는 신념체계와 지식체계, 기술적 도구와 그 생산물,여러 가지 규범 등은 예술이 아니다.

둘째, 모든 예술은 미적 즐거움을 목표로 하고 그것은 향수자의 많고 적음에 따라 그 분량이 변화되지 않지만 문화는 반드시 그러한 것이 아니다.

셋째, 문화는 인간에 대한 지배력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문화를 따라오도록 요구하는 강제력을 가지고 있지만, 예술은 인간에게 어떠한 강제도 하지 않는다.

넷째, 문화가 일정한 시대와 지역에 속하는 집단 구성원의 언어라고 한다면, 예술은 시, 공간을 초월하는 만국공통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일반적으로 문화현상에 대한 이해나 수용이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가능하지만, 예술에 있어서는 그것이 예술에 대한 안목이 있는 자에게만 적용된다. 이렇게 볼 때 예술이 문화의 가장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표현이며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문화의 하위개념으로 문화의 한 영역에 속할 뿐이다.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A Cup of Poem ~~ 꽃길/김호천

(Photo from Google Images)

지난해 걸었던 코스모스 꽃길을
오늘도 걷는다.
초록색 융단에 수를 놓듯
색색이 어우러진 길
한 잎 낙엽의 신세로
비단길을 걷는다.

오며가며 가끔 마주쳤던
초췌한 모습의
빛의 얼굴 보이지 않고
낯선 얼굴만 스친다.

길옆 벤치엔 기구한 인생을 산
두 노인이 술잔에
소주병이 술을 쏟고 있고
푸념이 안주다.

구름이 짙게 깔리더니
가랑비 흩날려
여인의 입술처럼 부드럽다.
빗줄기 점차 굵어져
화려한 꽃을 두고 쫒기듯
서둘러 발길을 돌린다.

코스모스 꽃길을
다음해도 걷기를 기대하며
어제 작은 아버지를 조문하고 왔다.

***
꽃길을 통해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연결된 길이 참 넉넉합니다.때론 “낙엽의 신세”가 되어도, 때론 자주 보았던 사람 그 길에서 다시 볼 수 없어도, 여전히 그 길에선 “소주”와 “화려한 꽃”과 “여인”이 비 바람을 희롱합니다. 시인은 다음해도 그 코스모스 꽃길을 걷게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작은 아버지”를 보내고 온 길, 그 길은 여전히 “초록색 융단에 수를 놓듯 색색이 어우러진 길”이었습니다.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Facebook Hacked: 50 Million Accounts at Risk

(Photo from Corih Kim)

Facebook announced at least 50 million users have attacked by unknown hackers on Friday.

Mark Zuckerberg, The Chief Executive described the incident as a “really serious security issue” in a conference call with reporters.

“This is another sobering indicator that Congress needs to step up and take action to protect the privacy and security of social media users,” Democratic U.S. Senator Mark Warner (Vice Chair of the Senate Democratic Caucus and the Vice Chair of the Senate Intelligence Committee) said in a statement.

If there were something at the user’s profile changed without the user knowing, or if users want to log into their accounts some how it won’t let them do it then it must be hacked was what Facebook said earlier today.

Facebook notified this issue to U.S.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nd to Congressional aides to investigate and the Data Protection Commission in Ireland, where the company has European headquarters.

Facebook said the problems were fixed by the firm in Ireland, but the firm said, “Facebook was unable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breach and risk to users,” In 2008, 80 million Facebook user’s DOB were hacked, and in 2013, user’s email address and phone numbers were stolen by unknown hackers.

Last year, “view as” option led to unknown hackers accessing 40 million user’s information and this year, 50 million user’s accounts are at risk, especially before “Midterm Election”. Hackers gained access to Facebook’s system through a new “view as” feature on the website that allows people to view their profile as another user according to WSJ.

As of today,  Facebook stock falling 3.0% by afternoon at the Wall Street stock index.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FAA Wins Funding: The Story

(Photo by Corih Kim)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passed a bill to reauthorize funding for the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and the FAA official, members of congress, and experts gathered at the Washington Post to discuss som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and policy issues associated with the aviation industry.

Bailey Edwards from the FAA, Sen. Edward Markey (D-Mass), Rep. Scott Perry (R-Pa), Bill Brown (GE), Michael McAdams (Advanced Biofuels Association), Kristin Slyker (Honeywell Aerospace), John G. Clark (Lockheed Martin Aeronautics), David Silver (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and John Wade (Gogo) all met to discuss interests pertaining to their industries and enforcement, such as the need for stable funding at the FAA as well as upgrading the nation’s air traffic control system, inclusion of new consumer protections and pilot training regulations in the FAA reauthorization bill, to better fuels and hoping for supersonic or faster flights for commercial uses.

Delta Air sponsored the event, where Heather Wingate and Cheryl Oldham explained Delta’s new initiatives to train pilots, aircraft maintenance technicians, and crew.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Prince Receives a Doctorate Degree and Brings the Rain

(Photo from Google Images )

The Late Prince (Prince Rogers Nelson : June 7, 1958 – April 21, 2016) will receive an Honorary Doctorate Degree from University of Minnesota for his dedication to his hometown, Minneapolis, with vivacity through his musical influence that spanned globally.

According to AP, “The University President Eric Kaler and Regent Darrin Rosha will present the school’s highest honor, the Doctorate of Humane Letters, to Prince’s sister, Tyka Nelson, in a ceremony on campus Wednesday evening.” The University prepared this honor back in 2016 but only recently managed to present it to Prince’s sister, Tyka Nelson.

Many musicians will pay tribute to Prince, such as Kirk Johnson, Jellybean Johnson, St. Paul Peterson, Cameron Kinghorn with students from the school of Music of University of Minnesota as well.

Prince’s life ended with an accidental fentanyl overdose, but his legacy as Prince of Music will not fade away.

Prince was a singer, singer-songwriter, record producer, filmmaker, born and dead in Minnesota. And on rainy Wednesday evening, Purple Rain will ring throughout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Judge Bans Hunting of Yellowstone Grizzly Bears

(Photo from Google images)

Montana Federal District Court ruled that the Grizzly bears in Yellowstone should be protected under the Endangered Species Act (1973), “a key legislation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servation. The act aims to provide a framework to conserve and protect endangered and threatened species and their habitats”.https://www.fws.gov/international/laws-treaties-agreements/us-conservation-laws/endangered-species-act.html

United States District Judge Dana Christensen ruled in favor of the Crow Indian Tribe, Other tribes, and environmental groups. The court ruled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exceeded its legal authority when it delisted the Greater Yellowstone grizzly bear from the Endangered Species list, as the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failed to consider an important aspect of the problem…,” relying on what the court deemed as faulty studies and deciding to ignore a key commitment to apply the best available science in determining whether delisting the grizzly bears from the endangered list was appropriate.

Governor Matt Meade of Wyoming lamented the court’s decision, arguing that bears were sufficiently recovered. The State of Wyoming had planned to allow the hunt of 22 grizzly bears this season.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Manassas City Park Planning Commission Surveys Residents to Update Kinsley Mill Park

The city of Manassas Planning Commission reached out to its residents to get better ideas for developing Kensley Mill Park on Hasting Rd last Saturday.

The Planners’ team came out to Kensley Park to explain what the city is planning in order to make the park more friendly, useful, and safe while in use.

Neighbors stopped by and got information about the park and how it will be changed in the near future. One of planners showed four different type of options and let users to choose favorites and listened to why he/she chose it.

In a brief interview, the planner said they have $145,000 in the budget for the project and stated that city council already approved it.

In addition, the City of Manassas has 10 parks, and they can be reserved ahead of time for use with fee $50-80 (minimum 3 hours) for family events such as wedding party, ceremony, or organizational gatherings, etc.

To reserve your spot : http://www.manassascity.org/826/Park-Reservations

If you want to get more information and pitch your idea for a better park, then contact http://manassascity.org/Directory.aspx?DID=75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The Significance of Culture(이강화 교수의 일요 문화 산책)

<Ph D. Lee, Kang Hwa, Gae Myung University>

3) 문화와 예술

인간의 정신적 활동의 구현이라는 점에서 문화는 그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 표현매체와 양식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종교, 윤리, 철학, 과학 등과 같은 신념체계와 지식체계를 가리킬 수도 있고, 마차, 자동차, 공장과 같은 기술적 도구 혹은 농산물, 집, 빌딩 등과 같은 기술 도구의 활용에 의해서 제작된 생산물을 가리킬 수도 있고. 인간의 정서적 표현으로서의 예술작품이나 여러 가지 관습이나 제도, 그리고 법률과 같은 규범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괄적인 의미 대신 문화라는 말이 협의적 개념으로 사용될 때에는 일반적으로 정서적 가치의 표현양식인 예술작품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뜻에서 흔히 ‘문화’라는 말은 ‘예술’이라는 말과 같은 뜻으로 쓰이거나 결합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문화사업, ‘문화예술인’ 등이 바로 그것이다.

물론 행정부서로서의 문화부가 협의로서의 예술분야만이 아니라 사찰을 비롯한 고적과 그 밖의 여러 가지 역사적 유물들, 종교분야 나아가서 국가 홍보까지 관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화’라는 개념이 정서적 표현으로서의 예술작품 만을 지칭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특정 유적이나 건축물 혹은 공산물이 건설부나 재정부의 관리 대상이 아닌 문화부의 관리대상이라면, 이때 이들이 이른바 ‘문화재’의 범주에 들어갈 수 있는 특정한 성격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결국 실용성이 아닌 예술성이라는 차원에서 그 대상들이 한 시대, 한 사회의 귀중한 정신적 표현으로서 가치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문화적 대상으로서의 예술품 역시 특유의 규범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때의 규범성은 문화의 속성으로서 인간의 자율적 결정에 의해서 인간이 제작한 상징체계 속에서 ‘기호/의미’로서 존재하는 관념적 질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면 문화와 공유되는 예술의 상징체계로서의 관념적 질서는 무엇일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예술이란 의미를 잠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예술이란 원래 기술과 같은 의미를 지닌 말이었다. 기술이란 어떤 물건을 제작하는 능력을 가리킨다. 우선 한자의 경우, 예술에서의예(藝)’는 본디심는다(種․樹)’는 뜻이었다. 심는 데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藝)’는기능(機能)’ ‘기술(技術)’을 의미하며 고대 동양에서 사대부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덕목이었다. 전통적으로 사대부가 갖추어야할 육예(六藝 : 禮․樂․射․御․書․數)에서의 ‘예’는 인격을 함양하는데 필요한 교양적 기초로서 인격도야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술(術)’은 어원적으로 ‘나라 안의 길(邑中道)’을 의미하며, 이 ‘길(道․途)’은 어떤 곤란한 과제를 능숙하게 해결할 수 있는 실행방도(實行方途)로서 역시 ‘기술’을 의미하는 말이다. 서양어의 경우, 예술에 해당하는 그리이스어 테크네(techne), 라틴어 아르스(ars), 영어 아트(art), 독일어 쿤스트(Kunst), 프랑스어 아르(art) 등도 일반적으로 일정한 과제를 해결해낼 수 있는 숙련된 능력 또는 활동으로서의 ‘기술’을 의미하였던 말로서, 오늘날 미적(美的) 의미에서의 예술이라는 뜻과 함께 ‘수공(手工)’ 또는 ‘효용적 기술’의 의미를 포괄한 말이었다. 이처럼 예술의 의미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기술과 연관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로서의 예술의 의미가 미적 의미로 한정되면서 기술일반과 예술을 구별해서 ‘미적 기술(fine art)’이라는 뜻을 지니게 된 것은 18세기에 이르러서이다.

여기에서부터 이제 기술은 기술일반이 아니라 미적 창조와 감상의 기술이 된다. 그렇다면 실용적 차원에서의 기술적 산물인 가공품과 예술품 사이의 차이 역시 ‘미’라는 가치의 존재여부에서 찾을 수 있다. 예술작품은 실용성과 관계없이 이른바 ‘좋은 형태’라는 미적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가공품은 설사 아름다운 모습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때의 아름다움은 부차적 가치이고 어디까지나 실용성이 주된 목적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처럼 예술이란 미적 작품을 형성시키는 인간의 기술적 활동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예술 즉, 미적 작품을 형성시키는 인간의 창조 활동에는 흔히들 말하는 ‘창작’과 ‘감상’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감상을 보다 적극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감상자 나름대로의 추창작 또는 재창작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중요한 구분 기준은 ‘의미부여의 형식’이다. 여기에서 ‘의미부여의 형식’이란 예술가의 마음속에 있는 어떤 ‘정신적 이념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콜링우드의 지적처럼 예술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최초의 기본적 정신활동”이다. 어린이와 원시인의 행동을 자세히 관찰하면 이러한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거의 모든 어린이들은 즉흥적으로 노래를 부르고, 훌륭한 이야기를 지어내고, 풍부한 표현의 그림을 그린다. 이와 똑같이 원시인들의 노래, 신화, 회화, 조각 그리고 무용 등은 매우 우수하다. 물론 예술이 인간의 ‘원초적인 활동’이라고 해서 어린이들이나 원시인들이 모두 예술가라는 말은 아니다. 왜냐하면 어린이들이나 원시인들의 활동은 어떤 미의식적 혹은 정신적 차원에서의 창작이 아니라 단순히 유희적 차원에서나 아니면 실용적 차원에서의 제작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여기사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원시인이든 어린아이든 간에 이러한 이념의 표현이 감상자로 하여금 공감적 감동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To be continued~~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A Cup of Poem~~ 불판위의 장어/강병원

(사진: 강병원 시인)

나는 언젠가
불판 위의 장어처럼
뜨거워 했던 적이 있었는가?

나는 한 번이라도
내 몸이 활활 태워지는
등신불의 고통을 당해 본 적이 있었는가?

철 모르던 어린 시절
펄펄 끓는 콩 삶는 솥에
한 발 담그고 기겁 했던 적 있었을 뿐

내 사랑하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피 토하며 울어본 적이 그대는 있었는가?

< 강병원(화암) 시집: 들깨를 털며 중에서>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King of Cambodia Pardons Australian Film Maker from Espionage Charge

Photo from AFP The prosecution had accused Ricketson of working as a filmmaker in Cambodia for years as a front for espionage

James Ricketson(69)캄보디아에서 필름 메이커로 드론을 띄어 촬영을 해오던 호주의 영화 제작자가 지난 6월 Cambodia National Rescue Party (CNRP)에 의해  간첩 혐의로 체포되어 지난 달 6년형의 선고를 받고 복역중 캄보디아 왕의 사면을 받아 자유의 몸이 되었다.

Ricketson 씨의 변호사인 Kong Sam Onn 씨는 리켓손씨가 자유를 찾아 가족과 함께 있다고 AFP 통신을 통해 말했다.

리켓손씨의 아들인 제시씨는 아버지의 사면에 대해 “마음이 놓이며 아주 기분이 좋다. 아버지가 간첩 혐의로 16개월동안 감금되었다는 사실은 나에게도 충격이었다” 고 말했다. Norodom Sihamoni 왕에게 감사를 표한다고 제시씨는 말했다.

6일동안 진행된 선고 공판 과정에서 “국가의 안전을 위해하는 첩보 행위” 를 했다고 기소한 캄보디아 국립 구조 단은 정확히 어느 나라를 위해 첩보활동을 했다는 명시를 하지 않았다고 AFP는 덧붙였다.

세계 인권 보호 단체인 Human Right Watch에서 리켓손 씨에 대한 캄보디아에서의 첩보 활동 혐의로 인한 선고 공판과정에 대해 “ludicrous charade” 우스꽝스러운 놀이 라고 꼬집었다.

코리일보/COREEDAILY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