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mp Entertains Term Limits for Congress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월요일 SNS 트위터에 이렇게 올렸다: 미국 연방정부의 국회의원들 봉직기간에 임기제한을 할 생각이라는 자신의 생각을 올렸다. 이 방책은 공화당과 민주당 두당 다 원하는 일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설명했다.

물론 상원대변인인 상원의원 밋치 맥코넬(KY-R)은, “임기제한은 이미 있다. 그것은 바로 투표이며 선거이다.” 라고 설명하며 반대를 했으나 하원의원 마이크 갈라거(WI-R)는 “약 85%의 미국인들은 국회의원의 임기제한을 원한다고 설명했다.”

상.하원의 대부분의 의원들이 이를 찬성하고 있다. 새로운 인물이 계속적으로 들어오면 어쩌면 총기 문제등 미국 사회를 불안하게 하고 있는 문제들이 해결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물은 오래 고여 있으면 썩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운 5가지의 윤리 플랜중 하나인 “늪을 말려라”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트위터에 보이는 국민 반응이 좋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10 Powerful Women Who Moved the World of Politics

Photo from Foreign Minister of Korea, Kang Kyung wha

1. British Prime Minister:Theresa May, 2.The first  female President of Taiwan : Tsai Ing-Wen (전직 법대 교수), 3.The President of Liberia : Ellen Johnson Sirleaf,  4.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Mauritius : Ameenah Gurib-Fakim (전직 생화학과 학자), 5. The first female President of Nepal in 2015 : Bidhya Devi Bhandari, 6.The first female President of Croatia : Kolinda Grabar- Kitarovic, 7.The first female Foreign Minister of South Korea :  Kang Kyung-wha (Director-Genera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 a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of South Korea), 8. The 2nd time elected President of Chille : Michelle Bachelet, 9. Chancellor of Germany since 2005 :Angela Dorothea Merkel, 10. The Prime Minister of Norway : Erna Solberg ,

세상은 분명 남성들이 좌지우지하고 있다. 그렇게 해 오고 있었다. 그들을 뒤에서 움직인 사람들은 모두 여성들이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뒤에 있던 여성들이 세상을 쥐고 흔들던 남성들을 바라보면서 더는 뒤에 있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을 했는 지도 모른다. 물론 그 옛날에도 여성들이 세상을 쥐락벼락했다.Cleopatra VII Philopator가 있었고 또 Neferneferuaten Nefertiti 도 기원전부터 여성의 파워를 보여주기도 했고, 철의 여인 대처 수상도 우리 기억속에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다.

위의 여성 정치인들은 지금 현재 세상을 흔들어 깨우고 있다. 어쩌면 여성이라는 한계적인 구분을 넘어선 세상을 더 살기 좋게 또는 더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자국민들을 또는 타국인들에게 깊은 감동과 뢀모델이 되고 있다.

최근 남.북한 종전 선언이 세계인들에게 회자 되고 있다. 평화적인 전진이라는 의미에서 과거를 과감하게 버리고 새롭게 출발하는 하나의 한국을 꿈꾸며 남과 북이 서로 힘을 합해 삼팔선을 지우고 있다. 여기에 한국의 강경화외무부 장관의 역할을 보면 대외적으로 아우르는 힘을 보며 과연 여장부 중의 여장부 임을 세계인에게 보여주었다. 어제 CNN 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그녀는 남과 북이 평화적인 종전 협상을 하게 도움을 준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말하며 그에게 크레딧을 주었다. 과연 리더다운 그녀의 면모를 보면서 한국의 미래가 밝을 수 있는 이유중의 하나로 촛불국민 수 천만명이 뽑아준 대통령, 그의 덕장과 지장, 용장의 모습과 내각이 호흡이 잘 맞아 국정을 잘 운영해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FACE : The Asian Vocational Training Academy was held successfully in LA

4월 27일 FACE ( President Heypin Im, Faith and Community Empowerment, formerly  KCCD) 가 주최하고 로스 앤젤레스 시청이 지원한 직업 교육, 인턴쉽 등 구직 안내가 아시안 아메리칸 태평양계를  대상으로 열렸다.

이번 구직 안내 프로그램에 등록한 200여명은 주로 로스엔젤레스 시에 거주하는 한국인, 중국인으로 직업에 따라 구분된 구직센터에 신청해야 한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더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직업에 따라 구직센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Managed Career Solution (MCS), Pacific Asian Consortium in Employment (PACE), Community Career Development. Inc (CCD)

FACE 임혜빈  회장은, 아시안계 지원자들의 성원에 힘입어 첫번째 세션에서 다 응답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지원자들이 몰렸다. 오전에 이어 오후의 세션에서  지원자들을 받을 수 있었는데 100여명이 주로 시청 직원으로 일을 하기를 원했다. 물론 교통, 안내직업등에서 직원을 구하고 있었으며 우리는 사람이 필요한 곳에 일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연결 시켜 주는 일을 하고 있으며, EDD 의 도움을 받아 한국어로 이력서를 쓰는데 도움을 주는 워크샵도 함께 진행되었다.” 라고 말했다.

FACE 는 로스 엔젤레스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위해 직업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저소득자들에게 로스엔젤레스에서 지원금을 받아 주택자금도 지원해주는 일을 하고 있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A Cup of Poem ~~ 봄꽃 같음 좋겠네/홍성재(다연)

만 꽃이
분분하니
시 샘이 절로나네

봄 볕이
완연하니
천지가 일어서네

세상은 한 해로 도나
윤회는 길어 슬프네

몇 겁을
되 돌아서
시절을 두드리네

봄 날이
쉬이 오듯
황혼이 지척이네

낼 아침
일어날 떄는
봄 꽃 같음 좋겠네

편집자 주:  시인은 봄을 노래하며, 젊은 시절을 불러 회상하듯 “분분하니”, “몇 겁을 되 돌아서” 인간사 인연으로 시작되어 인연으로 끝남을 보여주며, “황혼이 지척이네” 로 인생이 짧고 덧 없음을 노래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여전히 봄 꽃처럼 겨울을 이기고 희망으로 세상을 밝히는 “봄 꽃 같음 좋겠네” 로 자신의 소망하는 바를 이 짧은 시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Panmunjeom Declaration by Kim Jong Eun and President Moon Jae In: Korea begins healing process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shake hands after delivering a joint statement during the inter-Korean summit at 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CREDIT: REUTERS

<Panmunjeom Declaration>

1. South and North Korea will reconnect the blood relations of the people and bring forward the future of co-prosperity and unification led by Koreans by facilitating comprehensive and groundbreaking advancement in inter-Korean relations. Improving and cultivating inter-Korean relations is the prevalent desire of the whole nation and the urgent calling of the times that cannot be held back any further.

1) South and North Korea affirmed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the destiny of the Korean nation on their own accord and agreed to bring forth the watershed moment for the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by fully implementing all existing agreements and declarations adopted between the two sides thus far.

2)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hold dialogue and negotiation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t high level, and to take active meas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s reached at the Summit.

3)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establish a joint liaison office with resident representatives of both sides in the Gaeseong region in order to facilitate close consultation between the authorities as well as smooth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peoples.

4)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encourage more active cooperation, exchanges, visits and contacts at all levels in order to rejuvenate the sense of national reconciliation and unity. Between South and North, the two sides will encourage the atmosphere of amity and cooperation by actively staging various joint events on the dates that hold special meaning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such as 15 June, in which participants from all levels, includi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arliaments, political parties, and civil organisations, will be involved. On the international front, the two sides agreed to demonstrate their collective wisdom, talents, and solidarity by joint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sports events such as the 2018 Asian Games.

5)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endeavour to swiftly resolve the humanitarian issues that resulted from the division of the nation, and to convene the Inter-Korean Red Cross Meeting to discuss and solve various issues including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In this vein,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proceed with reunion programmes for the separated families on the occasion of the National Liberation Day of 15 August this year.

6)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actively implement the projects previously agreed in th e4 October, 2007 declaration, in order to promote balanced economic growth and co-prosperity of the nation. As a first step, the two sides agreed to adopt practical steps towards the connection and modernization of the railways and roads on the eastern transportation corridor as well as between Seoul and Sinuiju for their utilisation.

1)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completely cease all hostile acts against each other in every domain, including land, air and sea, that are the source of military tension and conflict. In this vein, the two sides agreed to transform the demilitarised zone into a peace zone in a genuine sense by ceasing as of 2 May this year all hostile acts and eliminating their means, including broadcasting through loudspeakers and distribution of leaflets, in the areas alo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2)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devise a practical scheme to turn the areas around the Northern Limit Line in the West Sea into a maritime peace zone in order to prevent accidental military clashes and guarantee safe fishing activities.

3)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take various military measures to ensure active mutual cooperation, exchanges, visits and contacts. The two sides agreed to hold frequent meetings between military authorities, including the defence ministers meeting, in order to immediately discuss and solve military issues that arise between them. In this regard, the two sides agreed to first convene military talks at the rank of general in May.

3. South and North Korea will actively cooperate to establish a permanent and solid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Bringing an end to the current unnatural state of armistice and establishing a robust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historical mission that must not be delayed any further.

1) South and North Korea reaffirmed the Non-Aggression Agreement that precludes the use of force in any form against each other, and agreed to strictly adhere to this Agreement.

2)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carry out disarmament in a phased manner, as military tension is alleviated and substantial progress is made in military confidence-building.

3) During this year that marks the 65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actively pursue trilateral meetings involving the two Koreas and the United States, or quadrilateral meetings involving the two Korea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th a view to declaring an end to the war and establishing a permanent and solid peace regime.

4) South and North Korea confirmed the common goal of realising, through complete denuclearisation,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South and North Korea shared the view that the measures being initiated by North Korea are very meaningful and crucial for the denuclearis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greed to carry out their respective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is regard.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actively seek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denuclearis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wo leaders agreed, through regular meetings and direct telephone conversations, to hold frequent and candid discussions on issues vital to the nation, to strengthen mutual trust and to jointly endeavour to strengthen the positive momentum towards continuous advanc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s well as peace, prosperity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context, President Moon Jae-in agreed to visit Pyongyang this fall.

27 April, 2018

Done in Panmunjom

Moon Jae-in

President, Republic of Korea

Kim Jong-un

Chairman, State Affairs Commissi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영어 전문 : From The Telegraph

<판문점 선언 전문>

1. 남과 북은 남북 관계의 전면적이며 획기적인 개선과 발전을 이룩함으로써 끊어진 민족의 혈맥을 잇고 공동번영과 자주통일의 미래를 앞당겨 나갈 것이다.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온 겨레의 한결같은 소망이며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의 절박한 요구이다.

ⓛ 남과 북은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민족 자주의 원칙을 확인하였으며 이미 채택된 남북 선언들과 모든 합의들을 철저히 이행함으로 써 관계 개선과 발전의 전환적 국면을 열어나가기로 하였다.

② 남과 북은 고위급 회담을 비롯한 각 분야의 대화와 협상을 빠른 시일 안에 개최하여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문제들을 실천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나가기로 하였다.

③ 남과 북은 당국 간 협의를 긴밀히 하고 민간교류와 협력을 원만히 보장하기 위하여 쌍방 당국자가 상주하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지역에 설치하기로 하였다.

④ 남과 북은 민족적 화해와 단합의 분위기를 고조시켜 나가기 위하여 각계각층의 다방면적인 협력과 교류 왕래와 접촉을 활성화하기로 하였다.

안으로는 6.15를 비롯하여 남과북에 다같이 의의가 있는 날들을 계기로 당국과 국회, 정당,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등 각계각층이 참가하는 민족공동행사를 적극 추진하여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 며, 밖으로는 2018년 아시아경기대회를 비롯한 국제경기들에 공동으로 진출하여 민족의 슬기와 재능, 단합된 모습을 전 세계에 과시하기로 하였다.

⑤ 남과 북은 민족 분단으로 발생된 인도적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며, 남북 적십자회담을 개최하여 이산가족·친척상봉을 비롯한 제반 문제들을 협의 해결해 나가기로 하였다.

당면하여 오는 8.15를 계기로 이산가족·친척 상봉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⑥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이룩하기 위하여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며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하여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나가기로 하였다.

2. 남과 북은 한반도에서 첨예한 군사적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전쟁 위험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다.

① 남과 북은 지상과 해상, 공중을 비롯한 모든 공간에서 군사적 긴장과 충돌의 근원으로 되는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를 전면 중지하기로 하였다.

당면하여 5월 1일부터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살포를 비롯한 모든 적대 행위들을 중지하고 그 수단을 철폐하며 앞으로 비무장지대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 나가기로 하였다.

② 남과 북은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들어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고 안전한 어로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실제적인 대책을 세워나가기로 하였다.

③ 남과 북은 상호협력과 교류, 왕래와 접촉이 활성화 되는 데 따른 여러 가지 군사적 보장대책을 취하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쌍방 사이에 제기되는 군사적 문제를 지체 없이 협의 해결하기 위하여 국방부장관회담을 비롯한 군사당국자회담을 자주개최하며 5월 중에 먼저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기로 하였다.

3. 남과 북은 한반도의 항구적이며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하여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다.

한반도에서 비정상적인 현재의 정전상태를 종식시키고 확고한 평화체제를 수립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역사적 과제이다.

① 남과 북은 그 어떤 형태의 무력도 서로 사용하지 않을 때 대한 불가침 합의를 재확인하고 엄격히 준수해 나가기로 하였다.

② 남과 북은 군사적 긴장이 해소되고 서로의 군사적 신뢰가 실질적으로 구축되는 데 따라 단계적으로 군축을 실현해 나가기로 하였다.

③ 남과 북은 정전협정체결 65년이 되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④ 남과 북은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였다.

남과 북은 북측이 취하고 있는 주동적인 조치들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대단히 의의 있고 중대한 조치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앞으로 각기 자기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기로 하였다.

남과 북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하였다.

양 정상은 정기적인 회담과 직통전화를 통하여 민족의 중대사를 수시로 진지하게 논의하고 신뢰를 굳건히 하며, 남북관계의 지속적인 발전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향한 좋은 흐름을 더욱 확대해 나가기 위하여 함께 노력하기로 하였다.

당면하여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가을 평양을 방문하기로 하였다.

2018년 4월 27일 판 문 점

대한민국 대통령 대통령 문재인 조선민주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김정은

** 한글 전문: 미디어 오늘 인용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Kim Jong – Un’s First Step Across Demilitarized Zone … All Smiles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shakes hands with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s both of them arrive for the inter-Korean summit at 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 CREDIT: REUTERS

4월 27일 오전 9시 30분, 평양 시간 9시 남 북이 서로 손을 맞잡았다. 김정은 위원장이 드디어 삼팔선을 넘었다. 김정은 위원장과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서로 손을 맞잡고 평화적인 무드를 조성하고 있다. 세계가 비로소 평화의 분위기로 돌아가는 것을 전 세계인이 페이스 북 라이브를 통해 보았다.

김정은 위원장은 “출발선에서 신호탄을 쏜다는 생각을 가지고 왔습니다….앞으로 미래를 내다보면서 … 기대하는 분들의 기대에도 부응하고…허심탄회하게 진지하게 솔직하게 반드시 필요한 이야기를 하고…문대통령과 좋은 이야기를 하고 싶다” 고 말했으며, “어렵사리 평양에서부터 평양 냉면을 가지고 왔습니다.  대통령께서 좀 편한 마음으로 평양 랭면을 드셨으면 좋겠습네다. 멀리 온, 멀다고 말하면 안되갔만요. 좀 맛있게 드셨으면 좋겠습네다” 라고 말했다.

문대통령은 “날씨가 화창합니다. …전 세계의 눈과 귀가 이곳 판문점에 있습니다…. 그만큼 어깨가 무겁습니다…판문점은 분단의 상징이 아닌 평화의 상징입니다.” 라고 말했다.

회담이 전 세계에 생방송되었고, 이번 두 정상의 만남이 확실하게 전쟁을 종식 시키고 통일을 앞당기는데 그 지렛대가 되길 바라며, 통일 한국이 하나가 되어 전 지구에 평화의 메시지를 전할 때  서로 반목하고 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도 하나의 한국, 평화로운 한국을 보며 조만간 화해의 불길이 타 오르길 기대해 본다.

전세계 3,000 여명의 취재진이 참석했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British are Betting on Trump and Kim Jong-Eun for the 2018 Nobel Peace Prize

Photo from AFP

A. Kim, Esq

북한과 남한이 전쟁을 마치고 북한의 핵 무기 프로그램을 그만두고 새로운 평화의 시계를 열어가기로 한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영국의 내기 웹사이트인 “코럴”에서 2018년 노벨 평화상 후보에 두고 내기를 열었다. 그중에 가장 이길 찬스가 커 보이는 자들은 도날드 트럼프와 김정은이다. 2:1로, 다른 후보들보다 이길 찬스가 훨씬 높은 상황이다.

또한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의자에는 한반도와 제주도, 그리고 울릉도와 독도의 그림까지 그려져 한 번 더 독도에 대한 남북의 마음이 하나인 것을 보였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France Macron and US Trump Summit: Iran Nuclear Deal?

France and the U.S. will “make this planet great again.” 매크론 프랑스 대통령 이 오늘 국회에서 “ 프랑스와 미국이 지구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것”이라고 말했다.

어제에 이어 오늘 미국의 대통령 도날드 트럼프와 프랑스의 대통령 이마뉴엘 매크론이 워싱턴에서 만났다. 어색한 인사와 악수를 나눈뒤 이란 핵 협상에 대해 대화를 나눈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크론 대통령은 이란 핵 협상과 환경과 지구 온난화 협정에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긍정적으로 재고하길 바랬으나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를 바꿀 수 없었다. 이번 프랑스 – 미국 두 정상과의 회담은 기대한 만큼 큰 성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제는 두 정상이 서로를 치켜 세워 주었지만 오늘은 기대가 실망으로 전환되면서 비난으로 바뀌기도 했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Federal Judge Rules Against Trump’s DACA Recessions

Advocates participate at a march to oppose President Donald Trump’s order to end DACA on Sept. 10, 2017 in Los Angeles. (Credit: David McNew/Getty Images)

24일 저녁 (현지시간) John Bates 연방 판사가 트럼프의 이민법안 중의 하나인 DACA 폐지안에 대해 반기를 들었다. 오바마 대통령에 의해 법제화 되었던 DACA( Deffered Action for Childhood Arrivals)와 관련하여 국토 안보국이 트럼프의 DACA중지안에 대해 향후 90 일 안에 이 이민법안이 중지되어야 할 합법적이며 명백한 사유로 합당한 근거를 주지 않은 한 다시 이 법안이 살아날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안이 살아나면 불안에 떨고 있는 700,000 여명의 Dreamer 들이 다시 그들의 꿈을 이어갈 수 있게 된다.

오늘 연방 법원에서 있었던 공판에서 이 법안에 대해 John Bates 연방 판사는 “Arbitrary and Capricious” 독단적이며 변덕 스럽다 고 말하며, 국토 안보국의 보다 확실하게 다카가 불법적이라고 설명하는데 실패 했으며, 다카가 중지되어야 할 분명한 이유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9 월 트럼프 대통령은 DACA 를 중지하여 그동안 법적으로 보호 받았던 Dreamer 들을 더 이상 보호해 주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올해 3월 5일 까지 신청하면 2 년 더 유예를 준다고 했지만 올해 3 월 5일 신청이 기각되어 현재까지 표류 중이었다.

Bates 판사는 60 페이지 분량의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그는 George W. Bush 전 대통령의 지명판사로 지금 현재까지 연방 판사로서 어린아이때 미국에 불법으로 들어온 이민자를 구제하는 법안인 DACA 에 대해 기존의 오바마 대통령의 이민법을 다시 회복하자는 판사는 모두 세 명이다. 두 명은 Bill Clinton 전 대통령이 지명한 판사로 이번 베이트 연방 판사의 트럼프 다카 철회안에 반대한 사람은 다름 아닌 공화당 대통령이 임명했던 판사로 상당히 이례적이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Laozi’s ‘Untouched Nature (無爲自然的)” Solution to Healthy Mind and Soul 57<강원대, 윤금자 교수>

<Korea: Prof. Yoon, Geum Ja>

우리는 우리의 모습 ‘있는 그대로’ 자연스럽게 내보이면서 탄탄하고 진솔한 삶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남들의 눈치보고 그들에게 마음을 맞추는 일들을 거듭하다 보면 지치고 힘겨워 자신의 본연의 삶의 본질을 잃어버릴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든지 본연의 자기다움을 잃지 않기 위하여 자기 자신이 되려고 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우리는 삶의 고통에서 심한 좌절감에 빠질 수도 있고, 자신의 존재로부터 벗어나고 싶을 때도 있다. 그러나 삶이란 곧 자기 자신의 존재를 끝없이 키워나가는 과정이다. 그러므로 현재 좋지 않은 곳에서 좋지 않은 감정에 사로잡혀있어도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려고 하는 마음의 싹이 돋는 순간 경직된 부정적인 마음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을 신뢰할 수 있게 된다. 매일 똑같이 나 자신의 관점에만 맞추어져 이어지는 친숙한 존재방식에 갇혀있다면, 삶에 연관된 더 넓은 의미들, 다른 사람들을 위한 수용과 배려의 의미를 생각으로만 이해할 뿐 실제적으로 체험하지 못한다. 풍요로운 삶이란 우리가 마음에 맞는 사람이든 맞지 않는 사람이든 가리지 않고 함께 어울려 적응하면서 깊이 있는 여러 차원의 새로운 삶과 인간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능력을 키워나가는 것이다.

孔德之容, 惟道是從. 道之爲物, 惟恍惟惚. 惚兮恍兮, 其中有象.
공덕지용, 유도시종. 도지위물, 유황유홀. 홀혜황혜, 기중유상.
恍兮惚兮, 其中有物. 窈兮冥兮, 其中有精. 其精甚眞, 其中有信. 
황혜홀혜, 기중유물. 요혜명혜, 기중유정. 기정심진, 기중유신.
自古及今, 其名不去, 以閱衆甫. 吾何以知衆甫之狀哉, 以此.
자고급금, 기명불거, 이열중보. 오하이지중보지상재, 이차.(노자 21장)

우리는 도의 작용을 통해 보다 순조롭게 인간에게 적응해가는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도의 작용은 만물의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해준다. 자연(도)은 “날카로움을 무디게 하며 얽힌 것을 풀며 빛을 누그러뜨리며 티끌과 함께한다”고 했듯이 우리의 까다롭고 예리한 성품을 누그러뜨리고, 다른 사람을 옹졸하게 오해하는 왜곡되어진 마음을 풀고, 우리의 才智와 총명을 으스대지 말아야 주위의 사람들과 함께할 수 있다. 하늘의 도(자연의 규율)는 “올라오는 것을 누르고, 낮은 것을 올리며, 여유 있는 것으로 부족한 것을 보충해준다”고 했듯이, 우리 주위의 물질적, 정신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정성과 진심을 다해 필요한 부분을 채워준다면 그들과 자연스럽게 삶을 공유할 수 있다. 자연의 규율이 균형과 조화의 원칙을 유지하듯이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물질적‧정신적 능력을 주변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면서 그들과 함께 조화를 이루는 삶은 우리 모두를 평온하게 해줄 것이다. 나눔은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존재감을 충만하게 해준다. 나눔은 결코 우리의 것에 손해를 가져오지 않는다. 도의 작용은 만물의 부족함(티끌)과 함께하지만 ‘公正無事’한 도의 위대함(빛)은 조금도 손상되지 않는다.

天之道, 其猶張弓與, 高者抑之, 下者擧之,有餘者損之,
천지도, 기유장궁여, 고자억지, 하자거지,유여자손지,
 不足者補之, 天之道損有餘而補不足,
부족자보지, 천지도손유여이보부족,
 人之道則不然, 損不足以奉有餘, 孰能有餘以奉天下, 唯有道者,
인지도칙불연, 손부족이봉유여, 숙능유여이봉천하, 유유도자,
是以聖人爲而不恃, 功成而不處, 其不欲見賢.
시이성인위이불시, 공성이불처, 기불욕견현.(노자 77장)

『노자』제56장에서 성인(지혜로운 사람)이 세상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방법을 살펴볼 수 있다. 성인(知者)은 이해타산적인 세속의 편협한 인간관계에 얽매이지 않으며, 개인적인 편견과 독단적인 고집을 버리고 모든 사람과 함께할 수 있는 ‘玄同’의 최고 경지에 도달하려는 데 뜻을 둔다. 성인은 ‘현동’의 뜻을 이루기 위해서 매사에 언행을 신중히 해야 한다. 자신의 견해가 옳다고 주장하거나 자신의 능력이 뛰어나다고 자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원망을 사거나 질투를 유발시켜 다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묵묵히 겸손하고 성실하게 자신의 본분에 충실한 사람은 주변사람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다.

知者不言, 言者不知,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紛,
지자불언, 언자부지, 색기태, 폐기문, 좌기예, 해기분,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
화기광, 동기진, 시위현동,
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疎,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고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 불가득이리, 불가득이해,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故爲天下貴.
불가득이귀, 불가득이천, 고위천하귀.(노자 56장)

노자에게 있어 ‘현동’은 편협한 인간관계를 벗어나 모두와 함께하는 최상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자기중심적인 생각과 특정이념에 사로잡힌 좁은 경계에서 벗어나 지평을 넓혀 제한되지 않은 풍요의 道를 닮아가야 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자신만의 정신세계에 갇혀있다. 도에 조율되는 것은 우리 자신의 사고양식과 행동 그리고 삶의 좁은 경계를 초월하는 것이다. 생명을 향한 더 넓고 깊은 도의 원천과 능력에 의해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을 향한 수용, 이해, 배려가 확장되는 것이다. 진심어린 수용, 이해, 배려를 통해 생명체에 대한 경이로움과 영감을 얻을 것이고, 그것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줄 것이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8.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