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마시는 한 잔의 시~~ Key-Word/서정현

 

Photo from Google Images

Photo from Google Images

Key-word

입속의 혀로 너를 잡지 못했다

내심을 체외로 내몰아 상기시켜 놓았지만
너는 코끝으로 조차 냄새 맡지 않았다
두뇌의 지령으로 둥그렇게 말았다 펴고
다시 제자리로 오므리고도 마땅한 造語를 만들지 못했다
어디 딱 부러지는 말 없을까
어디 동부 같이 조각으로 흩어졌다 하나로 되 맞출 수 있는
자물쇠와 열쇠 그 Key-Word 없을까
금수가 교신하는 분명하고 단순한 의사
때와 장소가 부화뇌동하여 너에게 환청으로 들릴 말
남에게 도용되지 않고 너에게 조차 모사를 허용치 않을
뒷날 회한이 되지 않고 빌미가 되지 않을 말
이 상태의 一物一語
지금 마른 침을 삼켜 보지만
별 묘안이 없다
以前의 대용, 以後의 대안
나는 사랑이란 말을 절제하고 싶은 오기
나는 너라고 지칭할 용기의 벽 앞에 서있다jhsuh

 

*** 서정현 시인의 Key-Word 를 실었다.

말이란 참 무서운 무기요.도구다. 그러기에 말은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시의 해석은 읽는 이의 몫이다. 그래서 가능하면 해석을 하지 않을 생각이다.

말을 해야 할 때, 또는 정말 꼭 해야 하는데 그래서 했는데 상대에게 전혀 전해지지 않았을 때,

말하는 이는 Key로 상대의 마음에 꾹 눌러 닫혀 있는 마음을 풀어 버리고 싶을 지도 모를 일이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DAAV announces of 2016 Community Engagement Awardees to Mark Keam, and Bel Leong -Hong

 

AboutPhotohrs_9606212a

Photo from Google Images

Arlington, Va. – In celebration of Asian American and Pacific Islander Heritage Month, the Democratic Asian Americans of Virginia (DAAV) will host its 2nd Annual Awards Dinner on May, 18, 2016 in Arlington, Va. The dinner will honor individuals who hav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Asian- American Pacific Islander community.

The event is the only political event of its kind in the Washington D.C. area that celebrates Asian American and Pacific Islander Heritage Month. It is a gathering of community leaders, business leaders, democratic activists and elected officials from Virginia and across the country.

The 2016 Community Engagement Awardees are – Delegate Mark Keam (VA-35) and Bel Leong-Hong (DNC AAPI caucus Chair).

Delegate Mark Keam is the first Asian-born immigrant elected to serve the oldest continuous legislative body in the Northern hemisphere, the Virginia General Assembly. Bel Leong-Hong is in

the most influential women in 50, Democratic National Committee’s AAPI Caucus Chair.

“We hope that you will join us to celebrate our heritage and honor these leader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trenches for our community for many years,” said Dewita Soeharjono, DAAV Chair/President.

Tickets and sponsorship levels are available through ActBlue.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DNC Press Concern for NC Voting rights

Photo from Google Images

Photo from Google Images

 

April 27, 2016 (GMT)According to the DNC,
voting rights activists announced they would appeal a U.S. District Court’s decision to uphold North Carolina’s overly burdensome election law, H.B. 589. The law imposed a number of new restrictions including eliminating same-day registration, reducing the early voting period and imposing strict new photo ID requirements that have made it harder for millions of North Carolinians to vote. Make no mistake, these are efforts by Republicans to intentionally silence the very groups that disagree with their extreme policies. While Republicans continue to defend laws to limit voter turnout, Democrats have gone to court in Arizona and beyond to reverse the culture of voter discrimination. This was echoed in North Carolina, as voting rights activists plan to file an appeal of the onerous H.B. 589 decision. Democrats across the country will continue to defend the right to vote — the most fundamental of our rights. Today, CBC Chairman Representative G.K. Butterfield, Representative Alma Adams and DNC’s National Director of Voter Expansion Pratt Wiley held a press call to discuss the restrictions of North Carolina’s H.B. 589 and how Democrats are working to expand access to the ballot box leading into the general election.

Below find excerpts from the call as prepared for delivery:

CBC Chairman Representative G.K. Butterfield
“It is deeply disturbing that as our nation moves forward, one of the country’s major political parties is attempting to drag us backward. We should not have to re-litigate yesterday’s battles or continue a fight we have previously won. North Carolina’s so-called Voter Information Verification Act, or H.B. 589, reversed a generation of electoral progress in my home state. Passed in the wake of the Supreme Court gutting a key provision of the Voting Rights Act, the bill eliminated same day voter registration, rolled back early voting by a full week, and imposed new requirements for voters to show a government-issued photo ID before being permitted to vote.

Supporters of the law argue that this bill was a necessary tool in the imaginary fight against voter fraud. At the time this bill was passed, the North Carolina State Board of Elections identified only two instances of potential voter impersonation in a 14-year period. Then House Speaker Thom Tillis even acknowledged in an interview that fighting so-called voter fraud was not the primary reason for passing the bill. This purely partisan law was passed without any support from Democrats because its intent was clear from the beginning ? to systematically limit access to the polls in order to sway elections.

I sent Governor Pat McCrory a letter urging him to reject this onerous bill. Instead, he signed it into law. The Governor and those who advocated for this egregious law should be ashamed of themselves.  I know many of the good people of North Carolina are ashamed. While we are certainly disappointed in the U.S. District Court for upholding this law, I strongly believe that the courts and the American public will ultimately understand what these types of laws do ? in both cause and effect. Restrictive voting laws make it harder for minorities, women, students, the elderly and working parents to vote.

I have stood on the front lines of the fight for civil rights, as a participant in the 1963 March on Washington and as a former civil rights attorney. Voting is our most fundamental right ? and one that for too long was kept out of the reach of far too many Americans. It is said that those who do not know their history are destined to repeat it. The legacy and history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is still being written, and we are continually adding new chapters to include the fight for full equality under the law for all Americans. I have not, and will not, sit idly by and allow others to erase our hard-fought gains. I applaud the work that voting rights activists are doing in the courts and in our communities in order to continue the fight. I intend to do my part in the halls of Congress so that no vote is cast in vain, and that no voices within our electorate are silenced.”

Representative Alma Adams,

“It’s deeply troubling that North Carolina had one of the highest voter participation rates in the country before H.B. 589 was signed into law. As G.K. noted, the law rolled back early voting periods, eliminated same-day registration, and imposed restrictive photo ID requirements for no other reason than to make it harder to vote.

Not everyone can take off time from work or school on a Tuesday to vote. Not everyone has a caregiver or can take a break from being a caregiver on a Tuesday to vote. Not everyone can drive to the polling location when another location is closer to one’s home or children’s school.  When we limit the ways that people can vote, we are hurting the low-wage workers with two jobs, the single mother who goes to work early each morning and picks up her children late at night, and the widower without a car who relies on his grown children to get to the polls.

There was a time in our not too distant past, when only a few blacks were able to cast a ballot across the South. Poll taxes, literacy tests, and being asked to count marbles in a jar were among the tactics used to prevent African-Americans from voting. While we need not count marbles in a jar, modern barriers to voting have been erected in their place. From North Carolina to Wisconsin to Arizona, Republican-led state legislatures have taken steps to make it harder to vote.

I have heard very little from the Republican Party when it comes to protecting our most fundamental of rights, but I have witnessed what they are willing to do in order to win elections. If the Republican Party or any party wants my vote, they have to earn it. This law would not have passed muster if it were subject to federal pre-clearance. Since a key provision of the landmark Voting Rights Act of 1965 was invalidated, we have seen numerous states enact these types of burdensome laws. No one should ever take for granted their right to vote, nor should anyone seek to take that right away.”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Report Issues Virginia Offshore Wind Industry Could bring 14,000 Jobs Next 15 Years

Photo from Google Images

Photo from Google Images

4월 25일(현지 시간) 리포트 (아메리칸 잡 프로젝트)에 따르면, 버지니아 주의 해안에서 부는 해풍을 이용한 풍력 산업으로 인해 적어도 향후 15년동안 14,000 개의 직업을 창출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버지니아 텍과 파트너쉽으로 게제되었는데 버지니아 주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하고 있는 산업으로 해안에 터빈을 장착해서 해풍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버지니아가 해풍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게 되면, 햄톤 로드가 동부 에서  아주 중요한 항구로서 제 역활을 감당하게 될 것이며, 터빈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르는 부속품들이 햄톤 로드 항구로 입항하게 될 것이라고 파일롯지는 덧 붙였다.

버지니아 주는 현재 이 계획을 실행에 옮기는데 신중하게 서서히 진행하고 있으나 도미니언 버지니아 파워측은 두 개의 실험용 터빈을 버지니아 비치쪽에 설치하느냐 또는 대형 풍력 산업시설을 임대한 후 그것을 발전시키느냐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메리칸 잡 프로젝트에 의하면 버지니아는 잠재적으로 향후 15년동안 적어도 5,000 여개의 직업이 향후 창출될 것이며, 이들 대부분은 탄소 복합 섬유조직을 가공하는 일로서 이 섬유는 산업, 특히 로보트  산업과 관련된 사업에 사용된다고 한다.

도미니언 버지니아 파워(Dominion Virginia Power)와 버지니아 해안 풍력 기술 발전 프로젝트( Virginia Offshore Wind Technology Advancement Project) 가 알스톰 파워주식회사에서 만든 터빈을 이용하고, KBR, Keysone Engineering ,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ewport News Shipbuilding, Virginia Tech Advanced Research Institute이 함께 참가 하여 기술 협조와 물적인 공급에 동참하게 된다. 이들은 2014년 $47 million 을 정부로 부터 지원받아 해풍 에너지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마크 워너 상원의원이 이 계획을 추진하고 지원을 아끼지않고 있으며, 버지니아 전력 수급에 대한 원활한 대안과 허리케인에도 대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채택되어 2017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하에 추진중이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PWC NOW Held The 2nd Women’s Leadership Luncheon

4월 24일 (현지 시간) 프린스 윌리엄 카운티 여성 지도자 전국 조직( 프린스 윌리엄 카운티 회장, Hala Ayala)은 창립 2주년을 맞아 기념 오찬을 가졌다.

IMG_0851

(사진 설명: 엘린 필러 콘 의원)

이날 기념 오찬에는 필러콘 버지니아 하원의원이 참석해서 눈길을 끌었다. 버지니아에 여성 지도자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Eileen Filler -Corn의원(D,VA-41 Fairfax Station)은 여성 지도자들이 버지니아 정계에 진출해서 함께 일을 해 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IMG_0857

(크리스타 존스,여성 지도자 교육조직)

Christa Jones( 회장,여성 지도자 육성 조직) 도 참석해서 여성 지도자를 양성하고 육성하는 일에 전념해야 한다고 말하며 조만간 여성 지도자들의 동상을 건립할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고 말했다.

13076989_10156937131910094_5397805322603625215_n           (여성 지도자 전국 조직,프린스 윌리엄 카운티 챕터 회장, 할라 아얄라 )

Hala Ayala 도 기회가 오면 자신도 정치에 직접 뛰어 들어 그동안 여러면에서 여성이 대접받지 못한 사회를 개선하는데 함께 하고 싶다고 자신의 소감을 피력하기도 했다.

IMG_0870

( 코뤼킴의 첫번째 역사 소설, “양쯔강의 눈물” 을 소개하고 있는 장면)

이 자리에서 코리김 기자의 눈으로 세상을 읽는, 역사를 더듬은 소설,” 양쯔강의 눈물” 을 소개하는 시간도 가졌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주말에 마시는 한 잔의 시~~ 물과 나/최일우

시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으나 물을 가운데 두고 쉽게 갈 수 없는 고국이기에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부에서 아주 멋진 해안이라는 빅서를 구글에서 찾아서 올린다.

시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으나 물을 가운데 두고 쉽게 갈 수 없는 고국이기에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부에서 아주 멋진 해안이라는 빅서를 구글에서 찾아서 올린다.

 

물과 나

 

최일우

 

물은 생명의 원천이다.

본디 순수했던 맑은 물
각기 다른 틀에 담긴 물
세상과 뒤섞여 채색된 물
향기와 맛이 멋대로인 물
변화에 저항하면 썩어버리는 물
낮은 곳으로 움직이는 물
스스로 정화 되려는 물
하늘로 올라가고 싶어하는 물

물 더하기 물
물 빼기 물
물이다.

물이 살아있으면 낮은 곳으로 여행한다
물이 죽으면 변화해서 하늘로 여행한다.

나도 죽고나면 하늘로 여행한다.
세상 껍데기 뒤로하고 영혼은 본향으로 돌아간다.
나와 네 영혼이 하나되어 하늘을 채운다.
너와 내 소우주가 하나되어 자연을 이룬다.
너와 난 하나였다. 이제도 영원도…

물과 난 닮았다.

 

*** 멀리 호주에서 살고 계시는 최일우 시인의 시를 올렸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시다. 때론 가던 길을 멈추고 사물을 관조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물과 나를 아주 잘 표현한 시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Missing Firefighter body Found in Shenandoah National Park

Photo from Google Images

Photo from Google Images

4월 22일(현지 시간) 지난 15일 실종된 페어펙스 카운티 소방 구조 대원 Nicole Mittendorff( 31) 씨가 쉐난도아 국립 공원에서 지난 21일 오후 2시에 발견되었다고 ABC 뉴스가 전했다. 시신을 발견하자 마자 매나사스 시에 있는 감식원에서 시신을 감식한 결과 니콜의 DNA 와 일치했다고 덧 붙였다.

지난 15일 니콜이 일하는 페어펙스 카운티에 출근 하지 않아  그녀의 남편이 실종 신고를 낸 후, 그녀의 무사 귀환을 바라는 가슴 아픈 기자회견을 가진 바 있다.

미니 쿠퍼 2009년식인 니콜의 차를 지난 토요일 밤에 국립공원 주차장에 세워진 것을 발견한 후 구조팀들이 집중적으로 국립공원을 수색하였으나 찾지 못하다가 지난 21일 오후  주차장에서 멀지 않은 곳인 숲이 울창해서 잘 보이지 않은 곳에서 니콜씨의 주검을 발견했다고 덧 붙였다.

그녀의 차에서 니콜의 노트를 발견했으나 별 다른 이상한 점은 찾을 수 없었으며, 니콜이 왜 그곳에 갔는지에 대해 의문이 남는다고 밝혔다.

페어펙스 카운티 소방소장인 리파드 바우어씨는 니콜씨에 대해 “Very motivated, very dedicated firefighter paramedic” 이었다고 말했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Congressional Asian Pacific American Caucus’ Next Chair Grace Meng: What Does She Plan?

download

Today, the Congressional Asian Pacific American Caucus Leadership PAC announce the election of Rep. Grace Meng (NY-06) as chair. She succeeds Rep. Judy Chu (CA-27), who founded the CAPAC Leadership PAC. The mission of the CAPAC Leadership PAC is to ensure fair representation in the U.S. Congres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Asian American and Pacific Islander (AAPI) legislators and supporting federal candidates with large AAPI constituencies who support the needs and values of the AAPI community.

“The CAPAC Leadership PAC is about leadership, empowerment, action and diversity in our political process. I’m extremely proud of the progress that we have made over the last two election cycles. We now have an unprecedented number of AAPIs serving in Congress,” said Rep. Judy Chu, immediate past chair of the CAPAC Leadership PAC. “This year is an extremely important election year for our nation and for our community. I have full confidence that my colleague, Grace Meng, will lead our PAC to new heights with her vision and commitment.”

Launched in late 2011, the CAPAC Leadership PAC had an immediate impact on the 2012 Elections. Through its support, the PAC welcomed six newly elected AAPI Members of Congress: Sen. Mazie K. Hirono (HI), Rep. Ami Bera (CA-07), Rep. Tammy Duckworth (IL-08), Rep. Tulsi Gabbard (HI-02), Rep. Grace Meng (NY-06) and Rep. Mark Takano (CA-41). In the 2014 Elections, the PAC supported and welcomed new members Rep. Ted Lieu (CA-33) and Rep. Mark Takai (HI-01). Today, there are 14 AAPI Members of Congress.

“In order to energize the AAPI community and ensure we have a seat at the table, we must work hard to elect candidates that understand and will uphold the mission of the CAPAC Leadership PAC,” said Rep. Grace Meng, chair of the CAPAC Leadership PAC. “The CAPAC Leadership PA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y election and I look forward to offering the same opportunities to candidates that share our values and that live in districts with large AAPI populations.”

Meng is serving her second term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where she represents the Sixth Congressional District of New York encompassing the New York City borough of Queens, including west, central and northeast Queens. Meng is the first Asian American Member of Congress from New York State, and the only Congress member of Asian descent in the entire Northeast. She is also the first female Member of Congress from Queens since former Vice Presidential nominee Geraldine Ferraro.

“Judy Chu has done a remarkable job in building the PAC to support the growing pipeline of AAPI candidates running for federal office,” said Mike Honda (CA-17), vice chair of the CAPAC Leadership PAC. “I am pleased that Grace Meng will be leading our efforts for greater representation in Congress and I look forward to supporting her vision and efforts.”

At nearly 20 million strong and representing 6 percent of the total U.S. population, the AAPI population grew 46% from 2002 to 2014 and it is the fastest growing popul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U.S. Census projects 150 percent growth between now and 2050. In just the last 10 years,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of viable federal candidates of AAPI descent. This year alone, there are forty AAPI candidates running for federal office, some of which have mounted formidable campaigns, outraising their opponents in contributions and conducting aggressive outreach to their communities.

Chu chairs the Congressional Asian Pacific American Caucus, the official congressional member organization. She remains on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CAPAC Leadership PAC board in the position of immediate past chair.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여러분 안녕하신가요? AP, Huffington Post 가 파 헤치고 있는 한국 인권의 과거. 현주소

 

In this undated image provided by the Committee Against Institutionalizing Disabled Persons, a civic group representing the former inmates of the Brothers Home, child inmates line up for morning assembly at the Brothers Home in Busan, South Korea. An Associated Press investigation shows that rapes and killings of children and the disabled three decades ago at a South Korean institution for so-called vagrants, the Brothers Home, were much more vicious and widespread than previously realized. It also reveals that the secrecy around Brothers has persisted for decades because of a cover-up orchestrated at the highest levels of government.(Committee Against Institutionalizing Disabled Persons via AP) MANDATORY CREDIT, NO SALES, NO ARCHIVE

In this undated image provided by the Committee Against Institutionalizing Disabled Persons, a civic group representing the former inmates of the Brothers Home, child inmates line up for morning assembly at the Brothers Home in Busan, South Korea. An Associated Press investigation shows that rapes and killings of children and the disabled three decades ago at a South Korean institution for so-called vagrants, the Brothers Home, were much more vicious and widespread than previously realized. It also reveals that the secrecy around Brothers has persisted for decades because of a cover-up orchestrated at the highest levels of government.(Committee Against Institutionalizing Disabled Persons via AP) MANDATORY CREDIT, NO SALES, NO ARCHIVE

4월 20일 (현지 시간) AP, The Huffington post 까지 한국의 인권에 대해 지난 50년을 뒤집었다.
한국은 정말 잘 살아왔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 과연 자신있게 Yes!  할 수 없다는 사실이 AP 뉴스를 통해 볼 수 있었다.

460x

한국의 1960년대부터 질서유지, 살기좋은 도시 형성, 이라는 제목으로 거리의 부랑자,  술 취한 사람들,  지체 부자유자, 또는 역에서 우연히 경찰에 의해 붙들려간 아이들, 또는 반정부 관련 데모자들 등이 부산에 그 거점지를 둔 형제 복지원에 강제로 입소되어 자유를 잃은 채, 구타 당하고, 성폭행당하고, 매 맞아 죽고, 그래서 죽은 사체는 병원에 검사용으로 팔려지고, 또는 거적대기나, 담요에 쌓인 채 형제복지원 뒷 산에 암매장 당했다는 이번 AP  뉴스로 인해 한국인이라는 것이, 또는 북한이 인권이 유린 당한채 어둠속에 살고 있다고 선전하며 북한을 탓하는 것에 대해 그렇게 일방적으로 북한만을 탓할 수는 없다는 사실이다.
형제 복지원사건을 조사. 취재한 기사로 인해 한국인의 인권 문제가 얼마나 왜곡, 축소되어 왔는지 한 눈에 볼 수 있었다.
1975-1987년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맞아 죽었는 지 전혀 알 수없다고 한다.
88올림픽을 준비하고 있던 전두환 정권은 한국의 이미지를 새롭게 해야 한다는 명목으로 부산시와 경찰에게 자금을 지원하며 형제 복지원을 양성, 원조 해왔다.

형제 복지원의 피해자인 최성우씨는 자신이 14살때(1982) 우연히 경찰이 자신의 가방에 빵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경찰이 자신이 피우던 담배 라이터로 최씨의 성기주위를 태우는 고문을 했다고 밝히며, 고문때문에 자신이 빵을 훔치지도 않았는데 훔쳤다고 말했다고 울먹이며 말했다. 그후, 그는 형제 복지원에 강제 입소되어 소대장으로 부터 성폭행을 수 차례 당하고, 가진 수모를 다 당했으나 높은 벽을 넘어서 탈출할 수 없었으며, 경비원들이 경비견을 대동하고 경계를 삼엄하게 했다고  허핑턴 포스트는 AP 뉴스를 인용해 발표했다.
1975년에 박정희 전 대통령이 “순화” 운동을 벌인후, 시청과 경찰에게 부랑자를 단속하라는 명을 내렸으며, 경찰, 상점주인들이 이에 협조를 했으며, 이들은 주로 껌팔이 소년들, 불구자들, 거리에서 노점상을 하던 사람들, 반정부 데모를 벌이다 잡혀 들어온 대학생들, 반 정부 운동가들이었으며, 여자들도 잡혀 들어온 후 성폭행을 당하고, 맞아 죽는 사람들이 허다했으며, 대부분이 어린이었다고 덧 붙였다.
탈출한 여자 수용자(박선이)의 증언에 따르면, 자신은 부산역에서 갑자기 경찰에 잡혀 들어와서 그곳에서 5년을 살고 있었으며, 5년동안 매를 맞고 쓰러져간 사람들을 힘없이 바라보며, 자신도 이곳에서 그렇게 죽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결국은 자신과 다섯명의 여자 아이들이 탈출 계획을 세워 철공소에서 철을 가는 것을 훔친뒤 그것으로 창문 창살을 매일매일 갈아왔고 아침에는 껌으로 붙여 놓았다고 말하며, 탈출에 성공해서 그녀의 집인 문산에 도착하자 그녀의 아버지가 기절을 했었다고 증언했다.
형제 복지원은 이런 식으로 길거리에서 우연히 붙들린 어린이들을 감금해서 강제 노동을 시켰는가 하면,  복지원 안에는 목공소, 철공소, 등 수 많은 공장들이 세워져 있어 가구, 철 제품, 신발, 옷등을 만드는 노동자가 되었다고 전하며, 임금은 한 푼도 받지 못하고 그 임금은 고스란히 복지원 원장인 박인근씨 소유가 되었다고 전했다.
1986년 당시는 전국적으로 36개의 형제 복지원이 있었으며, 수용인원도 16,000 명이 넘었다고 정부의 공식 서류를 인용해 발표했다.

매를 맞거나 아파서 병원에 실려오면, 응급처리를 하던 이들도 수용소의 무자격 의료요원으로 썩어가던 피부에서 구더기를 핀셋으로 뽑아내는 일도 하였다고 그 당시 13살이었던 이재식씨는  AP 를 통해 증언했다.
이재석씨는 “ 사람들이 고통으로 비명을 질렀어요. 그러나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어요. 지옥속의 지옥이었던 셈이지요.” 라고 증언했다.

공공 시설물에 교회를 세우고, 새벽 5시 반에 기상을 시켜 기도하게 하고 그때부터 밤까기 허리를 제대로 펼 수 없게 가혹한 노동과 형벌을 그치지 않았으며, 결국은 그곳에서 죽어간 사람들이 부지기수였으며, 공식통계로는 1975-1986년까지 513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실은 더 많은 숫자가 죽었을 것이라는게 증언자들의 증언이다.

ADVANCE FOR THE STORY SLUGGED: SOUTH KOREA TORTURED CHILDREN - In this Dec. 22, 2014, photo, Kim Yong Won, the former prosecutor who was in charge of the Brothers Home case, speaks during an interview at his office in Seoul, South Korea. An Associated Press investigation found that rapes and killings of children and the disabled three decades ago at a South Korean institution for so-called vagrants, the Brothers Home, were much more vicious and widespread than previously realized. (AP Photo/Ahn Young-joon)

ADVANCE FOR THE STORY SLUGGED: SOUTH KOREA TORTURED CHILDREN – In this Dec. 22, 2014, photo, Kim Yong Won, the former prosecutor who was in charge of the Brothers Home case, speaks during an interview at his office in Seoul, South Korea. An Associated Press investigation found that rapes and killings of children and the disabled three decades ago at a South Korean institution for so-called vagrants, the Brothers Home, were much more vicious and widespread than previously realized. (AP Photo/Ahn Young-joon)

수용자들은 죽음만을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 그 당시 울산 검찰청에 새로 부임해온 김용원 검사는 그 당시 꿩사냥을 하러 다녔는데, 가이드가 이상한 광경을 목격했다고 증언했으며, 그에 따르면 산 가까이에서 경비원들이 방망이를 들고, 경비견과 함께 땀에 절어있는 수용자들을 지키고 있었다고 한다. 김검사와 가이드가 그곳에 당도했을 때는 경비원은 형제 복지원의 원장 집을 짓고 있다고 얼버무렸다고 말했다. 1987년 김검사는 경찰 10명과 함께 형제 복지원을 급습해서 살펴본 결과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박인근의 금고에서 수억 달러가 발견되고 일본 엔화가 다량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김검사가 발견한 것은 매맞고 쓰러져 누운 사람들,죽음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 겨우 숨만 붙어 있는 사람들, 기침과 신음소리와 뼈만 앙상한 채 말라 있는 사람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검사 일행이 도착하자, 수용자들은 군대식으로 경례를 했다고한다.
김검사는 그곳은 결코 복지원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그후, 박인근은 체포되고 구속이 되었다. 그런데 김검사의 상사인 부산 검찰청 검사장은 박인근을 풀어 주라고 명령했다고 한다.  김 검사는 전화를 내려 놓았고, 김검사가 수사를 할려고 할때마다 그의 상사들은 수사를 방해했다고 한다.

 

ADVANCE FOR THE STORY SLUGGED: SOUTH KOREA TORTURED CHILDREN - In this undated image provided by the Committee Against Institutionalizing Disabled Persons, a civic group representing the former inmates, Brothers Home owner Park In-keun, right, shakes hands with former South Korean dictator Chun Doo-hwan. An Associated Press investigation found that rapes and killings of children and the disabled three decades ago at a South Korean institution for so-called vagrants, the Brothers Home, were much more vicious and widespread than previously realized. It also reveals that the secrecy around Brothers has persisted for decades because of a cover-up orchestrated at the highest levels of government.(Committee Against Institutionalizing Disabled Persons via AP) MANDATORY CREDIT, NO SALES, NO ARCHIVE

ADVANCE FOR THE STORY SLUGGED: SOUTH KOREA TORTURED CHILDREN – In this undated image provided by the Committee Against Institutionalizing Disabled Persons, a civic group representing the former inmates, Brothers Home owner Park In-keun, right, shakes hands with former South Korean dictator Chun Doo-hwan. An Associated Press investigation found that rapes and killings of children and the disabled three decades ago at a South Korean institution for so-called vagrants, the Brothers Home, were much more vicious and widespread than previously realized. It also reveals that the secrecy around Brothers has persisted for decades because of a cover-up orchestrated at the highest levels of government.(Committee Against Institutionalizing Disabled Persons via AP) MANDATORY CREDIT, NO SALES, NO ARCHIVE

전 대통령 전두환 정부는 김검사의 수사를 계속 방해했으며, 박인근의 형량을 가볍게하고 사건을 축소할려고 했다고 한다.
박희태 부산 검사장, 후에 법무부 장관은 지속적으로 김 검사의 사건 수사를 축소하려고 했으며, 형제 복지원 원생들과의 인터뷰를 방해하곤 했다고 전했다.
AP 측은 박희태 전 법무부장관과의 인터뷰를 추진해 왔으나 계속적으로 거절되었으며, 박의 비서측은 아주 오래된 일이라 자세히 기억을 못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김 검사는 방해공작과 축소 은폐에도 불구하고 은행 서류를 획득했으며, 박인근의 85-86년 사이에 그의 통장 거래엔 적어도 $3million 이 들어있었으며, $10million 은 정부가 원생들의 복지 자금으로 지급한 돈의 일부였으며, 김 검사의 상사인 부산 검찰청 검사는 김검사가 발견한 횡령액의 절반도 안되는 금액으로 허위 기재해서 형량을 종신형에서 감형 조치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김검사는 박인근에 대해 15년형을 요구하였으나 1989년 대법원에서 2년 반으로 감형되었으며, 횡령과 건축법위반, 토지관리 위반, 외국환 불법 보유등으로 구속되었다. 그의 하수인들은 오직 2명의 경비원만 형을 받았으나 1년반, 8개월형을 받은것으로 AP는 밝혔다.
형을 살고 나온 박인근은 계속적으로 돈을 모았으며, 형제 복지원 땅을 건설사에 매각하므로서 $27million 을 취득했으며,, 박인근의 딸이 경영했던 부산 대안학교는 2013년에 문을 닫았다.

박인근씨는 공금 횡령과 돈세탁등으로 복지재벌로 불리워지고 있으며, 현재도 그의 아들이 이름을 바꾸어서 복지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인근씨는 공식 서류에 의하면 $1.7 million 의 노예 노동자들의 임금을 착취했으며,  AP 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호주에 살고 있는 박인근의 처남인 장로교회 목사인 임영순씨는,” 박인근씨는 사회적으로 기여와 공로가 큰 사람이며, 그 사람 덕택에 부산이 깨끗하고 살기 좋아졌다.”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형제 복지원에서 나온 사람들은 여전히 지난 상처로 인해 정신적인 문제를 가지며 살게 되었고, 알콜 중독자, 우울증 환자, 분노와 수치심으로 떨고 있으며 가난하게 삶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형제 보육원 문제는 몇 차례 한국 메스컴에 보도 되었으나 사람들 사이에서 잊혀졌다가 2012년 최씨가 국회앞에서 1인 피켓 시위를 한 후 다시 언론의 재조명을 받았으나 현 박근혜 행정부는 사건을 다시 재조사해 해 줄 것을 요구하는 피해자들에게 “We can’t make separate laws for every incident,”  라고 안종태 내무부 장관은 AP 를 통해 밝혔다.

http://www.huffingtonpost.ca/2016/04/20/south-korea-mass-killings-abuse_n_9738662.html

http://bigstory.ap.org/article/c22de3a565fe4e85a0508bbbd72c3c1b/ap-s-korea-covered-mass-abuse-killings-vagrants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Veto Session Starts In VA, Constitution Calls All Legislators to Richmond

Photo from Google Images

Photo from Google Images

4월 19일(현지 시간) 지난 달 끝난 버지니아 의회에서 버지니아 주지사가 비토를 한 32건과 47건의 추천안, 30건의 예산 수정안에 대한 버지니아 상.하원 의원의 투표를 위해 다시 의원들을 소집했다고 Mark Levine (D-45)의원이 밝혔다.

Gov. McAuliffe 이 비토한 안건들은, According to Del. Levine, “Gov. McAuliffe vetoed: Defunded Planned Parenthood, Blocked the Clean Power Plan, Easy to have access guns for criminals (Reduced criminal penalties for pointing a gun at people), Denounce undocumented Immigrants, extended tax breaks for coal companies, made it harder to register to vote”

매컬리프 주지사가 비토한 안건들은 또 동성애 부부를 반대자를 옹호하는 성직자들에게 특별한 베네핏을 주자는  안건을 포함해서 32건을 다시 투표에 붙이기 위해서 모든 의원들을 소집했다고 밝혔다.

매컬리프 주지사가 추천한 안건들은 태양열 에너지 지원, 클린  에너지 발전 지원, 여성들의 임신과 건강에 대한 제한된 언어의 도움에 대해 그 제한을 없애서 다국적 언어로 지원하는 방안, 장애자를 위한 지원하는 안등이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