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권 규탄 집회 워싱턴에서 열려

 

IMG_2186

2월 28일, 링컨 메모리얼 광장에서 워싱턴 지역 재미 동포들이 “사람사는 세상 워싱턴”의 주관으로 박근혜 정권 규탄 집회를 가졌다.
이 집회에서는 재미 동포 공동성명서를 내고, 2015년은 남북 분단이 70년이 되는 해이며, 광복 70년이 되는 해 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70년동안 친일 정부가 여전히 대한민국을 도륙하고 있었으며, 통일된 조국을 꿈꾸는 많은 사람들의 바램을 무시한 채, 공안정국으로 몰고가며 세월에 역행하는 조국, 한국의 민주주의의 후퇴에 대해 성토하였다.

그리고 “불법 선거로 대통령이 된 박근혜 정부를 규탄하고 선거 공약을 파기해왔으며, 세월호 대참사는 국가기관과 공동체 내에 심각한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말했으며, 관건 부정선거, 전시작전권 포기, 진보 정당해산, 복지 공약 파기, 남북관계 파탄, 국민 생존권 박탈등이 박근혜대통령이 퇴진을 해야하는 주요 이유라고 밝히며, 박근혜 대통령이 선거기간동안 내건 공약이 하나도 지켜지지 않았으며, 담배값인상, 서민 세금 확대, 부자 감세를 통한 형평성 파괴로 그 동안 국민들이 애써 이루어왔던 민생, 민주, 민족이 파멸로 이르고 있다고 말하며 퇴진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 자리에는 외국인들도 집회에 동참하였으며, 리니라는 미국 여인은 자신은 한국에서 영어 교사로 재직했었다고 말하며, 한국의 현 실정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말하며 동참이유를 밝혔다.
그녀의 친구인 캐티 역시 한국을 친구를 통해서 잘 알게 되었다고 말하며, 국가와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기관에서 불법 선거를 했다면 그것은 그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강조하고, 당연히 퇴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재미동포 공동 성명서는 2.28 국민 운동 행동본부가 직접 제작하였고, 2월 28일 오후 2시에 로스앤젤레스를 비롯해서 뉴욕, 필라델피아, 보스턴, 시카고, 달라스, 시애틀과 워싱턴 DC에서 일제히 박근혜 정권 규탄 집회를 갖게 되었다고 말했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John Boehner, 여당 리더쉽 무너지는가

index

2월 27일 지난 상원에서 넘어온 법안에 대해 침묵을 지키며 모른척 하고 있었던 하원의 죤 베이너 (다수석 당수)가  새로이 만든 법안인 “3 주 동안만 국토 보안 예산을 책정하자.”는 안을 내 놓았으나 티파티 의원들이 그의 안에 동의하지 않아 법안이 통과되지 못했다.

오늘 오전에 실시된 예비투표 결과에선 죤 베이너의 새 법안이 통과 될듯 했으나 본 투표에서는 부결되었다.

미치 맥커넬( 캔터키 주 상원의원, 공화당)의 안건에는 오는 9월 상원 회기 임기까지 국토 보안 예산을 지원하지만 이민법에 대해서는 전혀 거론하지 않고 오직 국토 보안 예산만 통과를 시키려해서 야당의 반대를 받았다.

이 일 때문에 죤 베이너는 더 이상 티파티의 지지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고, 앞으로 공화당의 계획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 지 의문이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재외 동포 한인회 비리, 정말 이대로 침묵할 것인가

IMG_0271

최근 워싱턴 한국 일보에 전면 광고가 난 사실에 대해 우리 모두는 눈을 더 크게 뜨고 그 기사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한국을 떠나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우리는 모두 재외동포이기 때문이며, 한국에서의 흔히 말하는 “재외동포가 한국인에게 나쁜 짓”을 한다는 등의 불명예스런 호칭을 달고 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한국인이다.  우리가 몸 담고 살고 있는 나라, 그 나라에 속해 살면서 그 나라에 의무를 다하며, 권리를 주장하고 사는 그 나라 시민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재외 동포라는 이유로 인해, “한국에서 사기치고 간 사람들이 모두 다 어느 나라로 간다. 또는 어느 나라에서 살고 있는 재외 동포가 자기의 조국을 등쳐 먹는다.”라는 오명을 수 없이 들었다.  우리는 그러한 오명을 더는 듣지 말아야 하며 또 사실을 알려서 무엇이 진실인 지 알게 해야한다. 그것이 다른 재외 동포를 위하는 일이며, 또 한국인이 더 는 다른 재외 동포에게 “당하지”않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대부분의 재외 동포들은 척박한 환경을 이겨내고 열심히 땀 흘리며 살고 있으며, 나름대로 그 사회에서 주요한 구성원으로 살고 있다. “부지런한 한국인” 이라는 말을 들으면서 말이다.
기자가 쓰고 싶은 이야기는 현재 세간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두 전직 한인회장, 워싱턴 지역의 두 한인회장에 대해 많은 이들에게 주위를 주고 무엇이 사실인 지 알게 하고 싶은 것이다.  그들이 최근 한인 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불신의 온상인 한인회”에 대해서 보다 더 확실한 사실을 세계에 알림으로서 더는 어떤 피해자가 생기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다.

하나는 워싱턴 한인 연합회의 회장을 역임했던 린다한 회장의 공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일에 대해 워싱턴 한인 통합 노인회장인 우태창씨는 두 번이나 전면 광고로 이 사실을 밝혀 줄것을 요구하였으나  아무런 대답이 없는것으로 안다.
또 다른 하나는 버지니아주 한인회의 회장을 역임했던 홍일송 회장의 공금 회계, 관리및 새 회장에게 인수 인계가 되지 않아서 문제가 되고 있다.

린다한 회장의 경우, 주미 워싱턴 영사관으로 받은 “동해병기” 표기 지원금을 한 푼도 “동해병기 표기”를 이끌어왔던 피터김 회장(한국인의 목소리)에게 전달하지 않은 점과 함께, 연합회의 예산을 동해병기에 썼다고 발표한 일에 대해 정확한 회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버지니아 한인회에서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 4 년간의 부실한 재정 관리로 인하여 상당한 재정적 손실과 더 이상 비영리 단체로서 존속할 수 없는 심각한 법적인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관하여 현 회장단과 이사진은 지난 수 개월간의 조사를 통해 확인된 사실을 아래와 같이 발표하면서, 아울러 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이사회의 결정 사항도 알려 드립니다.
먼저, 현 제15대 김태원 회장의 임기는 지난 2014년 12월 1일에 시작되었으며, 지난 2014년 12월 16일에 첫 이사회가 소집되었습니다.
이 첫 이사회의 재무보고 중, 제2대 신수동 회장 임기 때부터 20년 이상 받아 오던 페어팩스 카운티 그랜트가 4년 전, 제13대 홍일송 회장 임기 때, 중지되어 지난 4년간 약 $260,000 의 손실이 발생하였음이 보고 되었습니다. 그 결과 버지니아 한인회가 운영하는 동포대상 직업훈련 종합학교 운영이 힘들다는 보고를 받고, 이사회는 페어팩스 카운티 그랜트가 중지된 사유를 조사하여 이 그랜트를 회복해 줄 것을 회장단에 요구하였습니다.

회장과 이사장은 “인수 및 그랜트 회복위원회”를 구성하여 12월 23일 홍일송 직전 회장 (13대, 14대 연임)과 만나 이사회의 요구사항을 알리고 협조를 요청하였으며, 페어팩스 카운티와 한인회 관계자들, 회계사, 변호사, 비영리 단체 운영 전문가 및 IRS (세무국) 담당자, 등 수십 명의 협조로 그랜트 회복을 위해 준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준비 과정 중에 그랜트가 중단된 가장 큰 이유는 재정관리 부실과 그랜트가 지원한 사업의 성과 측정 (Outcome Measurement) 이 신빙성이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따라서 이사회는 지난 1월 9일 제2차 회의에서 한인회의 재정관리를 투명하게 하고, 부실했던 세무보고를 수정하기 위해 제3자 독립 감사를 진행하기로 결의하고 $10,000을 감사 비용으로 책정하였습니다.

이 후 회장단 및 이사진은 재정 감사 준비 과정 중에 홍일송 직전회장이 관련 서류 제출을 계속 거부하고 있는 까닭에 감사도 진행할 수 없고, 세무보고 (tax return) 수정보고도 할 수 없고, 그랜트 재신청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심지어는 버지니아 한인회가 비영리 단체로 존속하는 것도 불가능하게 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버지니아 한인회 이사회는 2015년 2월 17일에 소집된 제3차 회의에서 현 상황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한인회의 진로를 결의 하였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재정 및 법적 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직전회장의 재정관리. 홍일송 직전회장 임기 중, 종합학교 예산외의 한인회 재정은 약 $400,000로 추정되나 예산인준을 받거나, 재정보고를 하거나, 재무감사를 받은 적이 없으며, 은행 계좌를 홍 전회장 혼자 관리하였습니다.

인수인계. 제14대 (회장 홍일송)에서 현 제15대 (회장 김태원)에 인수인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세무보고.홍일송전회장임기4년중,첫해는뒤늦게,적자결산의, 세무보고를 하였고, 그 후 3년간은 전혀 세무보고를 하지 않아 비영리 단체의 법적 의무를 방치하였습니다.

그랜트 손실. 홍일송 전회장 임기시의 부실한 재정관리로 인해, 20년 이상 받던 그랜트가 중지되어 지난 4년간 약 $260,000 의 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재무 감사. 홍일송 전회장이 재정기록 제출을 거부하고 있어 재무감사도, 세무보고도, 그랜트 신청도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비영리 단체 자격. 세무보고 방치로 인해 비영리 단체 자격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각 사항에 대한 세부 내역입니다.

1. 직전회장의 재정관리
지난 4년간의 버지니아 한인회 재정 기록은, 종합학교 재정 기록은 육종호 교장이 관리하고, 이를 제외한 모든 재정 기록은 홍일송 직전회장이 관리했으며, 현 회장단과 이사회는 홍일송 직전회장에게 재정기록을 제출할 것을 수 차례에 걸쳐 정중하게 요청하였지만 홍 직전회장이 제출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현재 버지니아 한인회 명의로 개설된 은행 계좌는 5개로서 아래와 같습니다.

계좌 1. Woori Bank
용도: 버지니아 한인회 종합학교 운영비 관리 관리자: 육종호 교장

계좌 2. US Bank
용도: 종합학교 크레딧 카드 결제 관리자: 육종호 교장

계좌 3. BB&T
용도: 종합학교 페어팩스 카운티 그랜트 접수

관리자: 4년간 그랜트가 중단된 관계로 사용되지 않음
계좌 4. Woori Bank
용도: 종합학교 운영비를 제외한 한인회 모든 운영비 관리
관리자: 홍일송 전회장 (역대 회장단이 사용하던 계좌)
현황: 2010년 11월 30일 제12대 (회장 황원균)에서 제 13대 (회장 홍일송)에 약 $6,000 이 인계된 후 2011년 6월 16일 까지 약 6개월간 사용되었으며, 2011년 6월 17일 현재 잔고 $1,118.52 가 남았음.

(참고로 홍 전회장이 2011년 6월 16일 종합학교에서 $15,000을 빌려 이 Woori Bank 계좌에 입금했으며, 같은 날 $15,000을 현찰 (cash) 로 인출 받았음. 그 후 인출 금 일부를, 아래 설명되어 있는, Citi Bank 계좌 개설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

그 후, 홍 전회장 임기가 끝난 2014년 11월 30일 까지 3년 6개월간 이 계좌에는 입금도 지출도 없이 전혀 사용되지 않음.

3년 6개월간 매달 은행 수수료가 지출되어, 제14대 홍일송 전회장 임기가 끝난 2014년 11월 30일 현재 잔고 $784.62 남음.

제15대 김태원 회장단이 $784.62 인수함.” 이라는 총 9 페이지에 달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자료에 의하면, 아직도 홍일송 회장이 현 김태현 회장에게 인수하지 않은 것들은 다음과 같다. 시티 은행 계좌 전체 기록, 수입 지출 기록, 기부자 및 기부 단체 명단과 기부 내역, 재외동포재단 등에 그랜트 신청시 사용했던 ID and Password, 현금 수입 장부, 홍회장이 임기후 갖고 있던 최소 $9,600불의 잔액, 이외 한인회 운영상 사용되었던 재무 기록이나 정보 들이다.

현 김태현 회장과 이사진들은 이미 버지니아한인회 라는 공식 직함( 501(c) 비영리 재단법인) 을 더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다시 다른 이름으로 등록하여 그랜트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자료에 의하면, 홍일송 전 버지니아 한인회장은 그의 임기(2010년 12월 부터 2014년 11월까지) 중 마지막 3년간 세무보고를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린다한씨  경우도, 주미 워싱턴 총영사로 부터 받은 $14,000 불과 자신이 언급한 연합회 공금 $23,000불의 사용처가 불 분명하고, 특히 이러한 공금이 모두 “동해병기” 법안을 지원하는데 사용해야 하는 지원금이었는데 정작 “동해병기”법안을 승리로 이끄는데 메카폰을 쥔 피터김회장에겐 한 푼도 돌아가지 않았다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물론 린다한 회장이 버스( $1,100*5)를 대절했고 식당에서 노인들의 식사(정확한 금액은 알 수 없으나, 100명 기준한다고 해도 $1,000불을 넘지 않을 것이다) 를 제공한 것은 있지만 대부분의 참석자들에게 린다한 회장은 자신의 주머니에서 사비로 그 비용을 충당한다고 했었다.  그러면 그녀가 받은 또는 집행한 공금은 다 어디에 있는 것일까? 라는 의문이 생긴다.

홍일송씨 경우도 그가 집행한 공금들과 그 행방에 대해서 한인들이 이해할 수 있게 알려 주어야 한다. 그런데 그는 지금 요양? 중이다. 그것도 한국에서 요양중이며, 최근 페이스북에서 올라온 기사를 보면 마치 자신이 “동해병기”법안을 이끌어 낸 사람으로 한국 사회에서 인터뷰도 하고 또 모금운동도 진행 중인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시간 기자는 “동해 병기”법안을 취재 하느라고 리치몬드를 몇 번 갔었다.  처음 “동해 병기” 백악관 싸이트 서명운동을 벌인 것 부터 그 모든 것은 피터김 회장이 했다. 이 “동해 병기” 백악관 청원운동(한인 102,043 명이 서명한 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낸 한인들의 최초의 온라인 시민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미 국무부의 공식 답변이 있었다.사실 그때는 미 국무부 보다도 미 교육부 소관인 만큼 미 교육부에서 공식적인 입장 표현이 있었어야 했는데 그 당시 일본측의 반대 로비로 인해, 일정 인원이 되면 가질 수 있는 백악관 공청회가 생략되고 미 국무부가 일본의 손을 들어주며, “일본해”로 입장 표면을 하자, 서울에 방문한 피터김과 홍일송은 미국 정부의 그러한 입장표명에 대해 실망하고 결국은 홍일송 전 버지니아 한인회장이 피터김 회장에게 혼자서 “동해병기” 법안을 이끌던지 마음대로 하라며, “유감스러운 일이지만 이 정도 했으면 되었다.” 라고 말하며 “동해 백악관 청원을 피터김이 시작했으니 혼자 마음대로 하세요.” 라고 말했다고 피터김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그가 기자에게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일송씨는 지금 한국에서 “희망의 소리” 라는 모금 싸이트에서 그를 지원하는 한국인들이 모금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마치 홍일송이 “동해 병기”를 승리로 이끈 것처럼 국민과 재외 동포들을 혼동하게 하고 있다.

한인 회장이 될려면 적어도 연합회장인 경우, $20,000불, 버지니아 한인회장인 경우, $10,000불을 공탁금으로 걸어야한다. 그런데 한인회장 선거에 대한 광고나 신문 지상의 확실한 안내가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 결국 1인 출마, 1인 당선이라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한인회장의 경우, 2년이 임기이며 최종 인준 시, 연합회의 경우, 150명의 교포들의 인준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인준을 받기 위해서 평일에 동원 가능한 노인회의 맨파워는 필수적이다. 그래서 한인 회장이되려고 하는 사람은 노인 회장이란 직함이 절대적으로 무시할 수 없는 거대한 힘이란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두 전직 한인 회장이 하루빨리 그들의 지난 임기 동안에 있었던 재정과 회계에 관련된 모든 스캔들을 잘 마무리해서 더 정진하는, 그리고 단합하여 “동해병기” 법안을 승리로 이끌어왔던 것처럼, 어떠한 일도 서로 단결하여 합심하면 다 이룰 수 있음을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 그리고 주류 사회에 알려야한다. 그 파장은 앞으로 우리 후손들이 더 쉽게, 어깨를 펴고살며,  더 확실하게 해당 주류 사회에서 당당하게 살아 갈 수 있게 하는데 우리 이민 1세가 해야 할 일이다. 어떤 일에도 장애물은 있다. 그 장애물을 넘어 서면 다음 장애물은 조금 더 슬기롭게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무엇보다도 한인회도 엄연한 한인들의 공적인 조직체인 만큼, 한인으로서 알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부당한 것에 대해서 손을 들어 의견을 개진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민주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선민의 가장 기본이 아니겠는가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Mark Keam’s Resolution 641 passes at VIrginia General Assembly

RICHMOND, VA – The Senate of Virginia unanimously adopted House Joint Resolution 641 this week to designate Jan. 30 of each year, beginning in 2016, as “Fred Korematsu Day of Civil Liberties and the Constitution in Virginia.”

The legislative measure, which was introduced by Del. Keam, had already passed the House of Delegates in January on a unanimous vote.

Fred Korematsu was a national civil rights leader, a recipient of the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and an Asian American pioneer. Following the attacks on Pearl Harbor on Dec. 7, 1941, Korematsu became one of approximately 120,000 Americans of Japanese ancestry ordered by the U.S. government to be incarcerated in special prison camps for the duration of World War II.

At age 23, Korematsu refused to obey the military action issued under Executive Order 9066, which led to his arrest and conviction. He appealed his conviction all the way to the U.S. Supreme Court, which affirmed the legality of the government’s unprecedented scope of racial profiling based on “military necessity.”

Four decades later, in 1983, Korematsu’s case was re-opened and his criminal conviction was overturned by a federal district court. That same year,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Wartime Relocation and Internment of Civilians concluded that the federal government’s decision to send Japanese Americans to prison occurred because of “race prejudice, war hysteria, and a failure of political leadership.”

“Our nation’s history is full of unsung heroes who stood up to injustice to ensure that the promises embedded in our Constitution are not just empty words on paper,” said Keam.

“Fred Korematsu was an American hero whose actions deserve a prominent place in our history. By recognizing his birthday in Virginia – a state that played such a crucial role in drafting our Constitution – we will remind future generations of what Thomas Jefferson warned, that the price of liberty is eternal vigilance,” Keam continued.

The idea for a resolution designating Jan. 30 as Korematsu Day in Virginia was brought to Keam by Korematsu’s daughter, Karen, who heads the Korematsu Institute in San Francisco, Calif. The Institute works to educate the public about Americans who have suffered from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civil rights injustices. More information about the Institute is available at http://korematsuinstitute.org/.

The text of the Virginia legislative resolution is below and can be found on the Legislative Information System’s website at http://lis.virginia.gov/cgi-bin/legp604.exe?151+sum+HJ641.

HOUSE JOINT RESOLUTION NO. 641

Designating January 30, in 2016 and in each succeeding year, as Fred Korematsu Day of Civil Liberties and the Constitution in Virginia.

Patrons—Delegate Mark L. Keam; Senator Mark D. Obenshain
Offered January 14, 2015

WHEREAS, throughout history, the battle for civil liberties has been championed by ordinary Americans who have had the courage to stand up and fight for their basic constitutional rights; and

WHEREAS, the Commonwealth occupies a unique place in securing the rights and liberties of American citizens, having adopted the Virginia Declaration of Rights in 1776, which later influenced language in the United State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Bill of Rights and articulated the principle that government exists to provide for the common benefit, protection, and security of the people; and

WHEREAS, during World War II, Fred T. Korematsu refused to comply with Civilian Exclusion Order 34, based on the federal Executive Order 9066, that imposed strict curfew regulations and required 120,000 permanent residents and American citizens of Japanese descent to leave their homes to be incarcerated in American concentration camps; and

WHEREAS, Fred Korematsu was arrested and convicted, but fought his conviction because he believed it violated the basic freedoms guaranteed to him by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and

WHEREAS, Fred Korematsu’s conviction was ultimately overturned in 1983; the decision influenced the passage of the Civil Liberties Act of 1988, which recognized that a grave injustice was done by forced relocation and incarceration of Americans citizens and civilian residents because of wartime prejudice; and

WHEREAS, schools and teachers in Virginia are encouraged to observe the Fred Korematsu Day of Civil Liberties and the Constitution on January 30, or the days surrounding it, and conduct exercises honoring the life of Fred Korematsu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civil liberties, even in times of crisis; now, therefore, be it

RESOLVED by the House of Delegates, the Senate concurring, That the General Assembly designate January 30, in 2016 and in each succeeding year, as Fred Korematsu Day of Civil Liberties and the Constitution in Virginia; and, be it

RESOLVED FURTHER, That the Clerk of the House of Delegates transmit a copy of this resolution to the Virginia Board of Education so that members of the Board may be apprised of the sense of the General Assembly of Virginia in this matter; and, be it

RESOLVED FINALLY, That the Clerk of the House of Delegates post the designation of this day on the General Assembly’s website.
CoreeIlBo.com

오바마 대통령, 키스톤 파이프 라인 법안 비토

keystone-xl-pipeline-map

 

2월 24일 The Verge에 따르면, 오바마 대통령은  키스톤 파이프라인 법안을 비토했다고 전했다.

비토 원인은 캐나다의 보릴 산맥에서 원유를 채굴해서 텍사스의 정유지까지 이동되는 구간의 7개주의 환경이 훼손되는 것이 가장 큰 비토 이유라고 밝혔다.

지난 1월, 공화당이 이끄는 하원에서 키스톤 파이프라인은 통 1,179마일로 830,000 배럴을 수송해올 것이라고 말하며 고용증진과 함께 더 이상 원유를 해외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원에서 이 법안을 통과 시킨 후, 오바마 대통령이 “건설의 문제” 를 이유로 삼아 승락하지 않겠다고 했었다.

오바마 대통령의 비토를 물리치고 이 법안을 통과 시킬려면 하원의원의 2/3의 투표가 있어야 한다.

2월 초,90명도 넘은 과학자들과 경제 학자, 환경학자들이 오바마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내 반드시 비토해 줄 것을 강력하게 주장한 바 있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Delegate Mark Keam’s bill(HB 2090) Successfully Passes

2012_MK Rotonda Annual Mtg2

(Photo from his office, Mark Keam’s Annual meeting at his district, Vienna, VA)

On February 20th, Del. Mark Keam’s bill (HB 2090) passed legislation and wait for the Governor’s signature.

This bill (HB2090) requires to have educational program in Virginia  for the workers in restaurant of their customers with food allergy and safety issues.

According to VANews,

Keam’s House Bill 2090 and its companion Senate Bill 1260 introduced by Senator Creigh Deeds passed both chambers of the Virginia Legislature with overwhelming support.  Both bills are now headed to the Governor’s desk.

Claire Troy, a 14-year old constituent from Vienna who, along with other members of her family, suffers from food allergies, and brought the idea to Keam.  She asked her delegate to help ensure that restaurant workers are able to address the needs of customers who may suffer severely if the restaurant inadvertently prepares food or uses ingredients without properly guarding against allergic reactions.

Troy and her mother traveled to Richmond in January to testify in support of Keam’s HB 2090 at a subcommittee hearing of the House Health, Welfare and Institutions Committee.  Although she was admittedly very nervous about speaking in front of a panel of elected officials, Troy presented her case in a calm and coherent manner.  Her testimony included well-documented economic analyses of potential benefits to the restaurant industry if they adopted food allergy awareness best practices.

Troy also told delegates a story about her personal experience when over 30 friends and family members visited her family on the occasion of a First Communion.  Troy testified that, “My parents did not think it was feasible to eat out with all of the food allergies between me and my little brother and sister.  So we hosted a dinner at our house.  We would have much rather gone out to eat.  That night, a restaurant lost the revenue of 30 plus people.”

Afterwards, several members of the subcommittee commented that Troy’s personal testimony was critical in influencing their decision to support Keam’s bill.

“When this bill goes into full effect, Virginians who suffer from food allergies can be comforted knowing that every restaurant in the Commonwealth will have staff knowledgeable about food safety issues,” said Keam.  “I want to thank my young constituent Claire Troy for coming to Richmond to testify on its behalf, as well as the Virginia Restaurant Association and Department of Health staff for working with me on this important legislation,” said Keam.

The details of these bills are available at lis.virginia.gov.

CoreeILBO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워싱턴 정신대 대책 위원회, 새해 첫 번째 포럼 가져

 

 

WCCW !st Fofum staff photo 1

(사진 설명: 앞줄 왼쪽에서 세번째, 김광자 전 회장과 네번째, 이정실 회장)

지난 2월 21일 워싱턴 정신대 대책 위원회의 새해 첫번째 포럼이 워싱턴의 폭설속에서도 지역 인사들의 뜨거운 성원과 함께 비엔나의 한미 과학 센터에서 열렸다.
이문형 전 정대위 이사장의 “제 2차 대전 성노예 할머니들 역사와 워싱턴 정신대 대책 위원회의 역사” 라는 제목으로 정대위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조명이 있었다.
이정실(회장)은 정대위의 방향에 대해 그동안 해 왔던 정치적인 부각화를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며, SNS 를 통해 다각적인 접근과 함께, 세미나, 전시, 출판, 영화 제작에 힘쓸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 보다 역사적인 고증과 함께 자료를 발굴하는 일에도 힘쓸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도 필요하며, 인원확충, 예산 마련등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방안과 함께 기금 모금운동 또한 전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원 선출이 있었으며, 부회장으로 헬렌원이 임명되었고, 총무: 정선진, 서기: 이지현, 회계: 윤미희, 아델라 김 이 핵심 임원 으로 선출 되었으며,
문화부장: 이지은, 이승숙/ 학술 부장: 최유경, 수지 김/ 홍보 부장: 구수현, 재키 김/ 자금부장: 윤양로, 정혜전/ IT 자료관리 부장: 신율미, 최우혁
고문: 김광자, 서옥자/  이사장: 함은선, 법률 고문: 기신연, 회계사: 마이클 강, 감사: 소피아 손 등이 선출되었다.
이정실 회장은 조만간에 아베 일본 총리가 미국에와서 국회에서 연설을 한다는 일에 대해서 우리는 강력하게 위안부 문제를 더 부각 시키며 국회에 보내는 서명운동에 적극 참여하여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를 받아 내야 한다고 덧 붙였다.

국회 서명 운동은 누구나 참여 할 수 있다.

양식은 다음과 같다.

Letter to Ed Royce – Abe’s visit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The 8th Annual International Students For Liberty Conference at Washington, DC

IMG_2081 IMG_2083 IMG_2084 IMG_2085 IMG_2086 IMG_2087 IMG_2088 IMG_2090 IMG_2091 IMG_2094 IMG_2099 IMG_2103 IMG_2105 IMG_2111 IMG_2116 IMG_2117 IMG_2128 IMG_2129 IMG_2132 IMG_2135 IMG_2140

 

지난 2월 13일부터 15일까지 워싱턴 디시에서 세계 각국으로 부터 2,000 여 명의  많은 학생지도자들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 자리에 모인 젊은 지성들은 정치적인 좌. 우를 떠나 현재를 바라보며 무엇이 가장 자신들에게 합리적이며, 더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인가에 더 관심이 있음을 몇 몇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알게 되었다.

이 조직은 지난 2008년 10명의 대학생들이 조직하였으며, 현재 50,000여명으로  젊은 세대들의 파워를 과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1,400개가 넘는 그룹과 함께 600명을 넘는 학생 지도자들, 매년 세계 각 국에서 열리고 있는 컨퍼런스만해도 50개가 넘는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세계 26개국의 학생들이  현재의 관심사와 관련해서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최근 발생하고 있는 ISIS의 테러행위에 대한 정치적인 관점들을 광범위하게 논의하였고, 또 미국 정치인들에게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질문과 함께 의견을 내놓는 시간도 가졌다.

첫날인 13일 저녁에는 메리앗호텔안의 열기가 그 어느때보다도 펄펄 끓어 올랐다. 바로 젊음의 열기, 그리고 좌. 우에 치우치지 않은 중용의 미덕인 리버테리안들의 미래를 보는 것 같았다.

지난 몇년동안 세계 언론의 집중적인 관심을 불러왔던 미국 NSA 에이전시였던 에드워드 스노우든, 자신의 나라, 부모에게 돌아오지 못하고 세계의 어느나라에서 현재 채류하고 있으면서도 많은 참가자들과 비디오 컨퍼런스를 하며 조국의 열기를 느끼게 하였다.

Dr. Ron Paul 의 야심찬 그의 비젼, “우리가 우리를 지켜야 한다.” 와 함께 Judge Andrew Napolitano의 인간의 자유에 대한 그의 생각을 느낄 수 있었다. Congressman Walter Jones,  Founder of  ISFLC, Alexander Mc Cobin, Deirdre McCloskey, Nick Gillespie등이 자유로운 대화의 장으로 많은 이들의 시선을 끌었으며, 또 미래의 지도자들에게 던지는 “진정한 자유”의 의미를 전달하기도 했다.

어느 참가자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불가리아 출신이며, 런던의 정경대학을 졸업하여 현재는 불가리아에서 교수로 재직중이며, 인간의 기본권리의 존중과 자유에 대해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을 때 세상은 좀더 살기 좋아지지 않겠느냐고 대답했다.

코리 일보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나카섹, 서류 미비이민자들을 위한 기자회견 가져

 

IMG_2156

 

지난 18일 애난데일에 소재한 나카섹 오피스에서  2월 16일 텍사스 주 법원의 결정에 따라 새로운 2014 DACA 와 DAPA 프로그램이 한동안 정체되어 있을 상황에 대비한 기자회견이 있었다.

기자회견에서 그레이스 한 울프, 헌돈 시의원은 절대로 포기하지 말고 지원서를 작성해서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게 준비하고 있다가 때가 되면 바로 제출할 수 있게 하는것이 지금 상황에서 해야할 일이라고 말했다.

에밀리 키셀, 나카섹 담당자도 현재 2012년 DACA 는 유효하며, 텍사스 주 법원에서 중지 명령을 한 것은 2014년 DACA 와 DAPA 라고 말하며 지금 상황은 임시적인 적체상태이니 포기하지 말고 계속 서류접수를 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는 Edgar Aranda-Yanoc, Chair of the Virginia Coalition of Latino Organizations (VACOLAO), Lenka Mendoza, General Coordinator of Dreamers Moms USA, Jose Caceres from Dreamers of Virginia , Grace Han Wolf, Herndon Town Council Member 가 참석했다.

Grace Han Wolf stated ” As a strong advocate of working for the common good of our community, I encourage Korean Americans who are potentially eligible for the expanded DACA and new DAPA programs to continue to prepare to apply. Our community deserves this win. Our young poeple deserve a chance to work legally to support their families and have an affordable education to better their future. This is only a bump in the road and not the end. Let’s be proactive and make sure that our community voice is heard by preparing  to apply for expanded DACA.”

Emily Kissel from NACASEC mentioned   the difference of 2012 DACA and 2014 DACA. She said still 2012 DACA is available to apply. Department of Justice will appeal the temporary injunction in the Fifth Court Ruling as well. This wait period will be very exhaustive and critical time for our immigrant community.

 

Coreeilbo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People can still apply for DACA 2012

SHFWire photo by Robert R. Denton.
(Photo from Google Images)
Since Texas State Court ordered temporary injunction last Monday, many people felt devastation set in as their dreams of living together as families crumbled.
On February 18th, The National Council of Asian Pacific Americans (NCAPA) hosted a press conference regarding DACA 2012 program. Reps. Mike Honda and Judy Chu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API voting power and why AAPI groups should be more active in political arena.
Rep. Judy Chu stated 8% of Undocumented AAPI communities are eligible for the DACA program but only 2% applied. She encouraged community leaders to step up and encourage the other 6% of undocumented AAPI people to apply for protection as well. She said, “more than 1 million undocumented AAPI individuals would be affected horribly under this temporary injunction.”

Rep. Hond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ACA and DAPA in protecting illegal immigrants from various issues, and that those who are eligible should apply, as the court did not put an injunction on the DACA 2012 program.

DJ Yoon from NAKASEC mentioned that he received more than 20 calls per day since November last year asking about the DACA and DAPA programs. He critized politicians who don’t value family nor those living in the “shadows” due to their immigration status.

Those eligible should visit USCIS.Gov for more information or click the link below:http://www.uscis.gov/humanitarian/consideration-deferred-action-childhood-arrivals-daca

Coreeilbo

Coree ILBO copyright (c) 2013-2015,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