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xpat Response to “Park-Choi gate” Embarrassment and Horror

Photo from Google Images

Photo from Google Images

10월 28일(현지시간)  최근 한국에서  전 국민들이 실의와 좌절에 빠져 거리로 나와 연일 박근혜 대통령 하야,  탄핵을 요구하는 시위로 이어지고 있는 이른바, “박-최 게이트”  사건에 대해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을 상대로 표본 조사를 실시한 바,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이번 “박-최 게이트”  에 대해서 이 문제가 간단한 문제가 아니며,  철저한 조사를 실시해서 이 사건의 진상을 국민들이 알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영국에 살고 계신 한인 A 씨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짧게 이야기할께요: 박근혜는 부정선거로 직위에 올라 벌써 3 년동안 버티고 있어요. 하루속히 대통령직을 그만 둬야하고 지돈 모두 나라에 내 [놔야] 해요. 순실이는 농단으로 법정에 [올라야] 하구요. 이 모든 [문란]이 아옹거리고 굽신거리는 신하들 때문이죠.”  라고 말했다.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 S 씨는 “저같은 경우는 예전부터 최태민의 존재에대해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까지 광범위하게 국정을 농단했으리라곤 생각못했어요. 진짜 박근혜같은 인간이 내 조국의 대통령이라는게 너무 부끄럽고 창피하네요.. 하루빨리 더 이상 망가뜨리기전에 끌어내는게 추락한 국격과 망가진 자존심을 조금이니마 바로 세울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멀리 해외에 살아 돕지는 못하지만 트위터나 포탈등에서 열심히 박근혜하야와 최순실구속을 외치고 있습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동남아에서 살고 계신 S 씨는 “총체적으로 모순덩어리고 다들 쇼하는게 보입니다. 사과하고 말맞춰 기[자]들에게 답변하고 도피자들 한거번에 귀국하겠다하고.. 지들끼리 다들 통해서 연락하고.. 뭐이런 개판인 나라가있습니까.. 박근혜가 모자란것[…] 있다지만 이렇게까지 머리가 빈줄은 몰랐어요 . 행여 게엄선포하고 전쟁벌려 이  국면을 [넘]어가려고 얼마든지 할수도 있겠다 싶네요. 아무 생각이 없으니…. 앞으로 대통령선거는 자동개표기를 없애야겠지만 하더라도 패자는 무조건 재검표하는 걸로 해야… 본질이 좀 엊나갔지만 저[여]인이 [대]통령이란 여자와 언니언니 하면서 국정을 농락하고 모든 정책.인사를 관여하고 결정된것을보고 박근혜는 당장 사퇴함이 옳은줄로 아뢰요.. 정책공백을 우려한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천]만의말씀.. 우리[국]민들 그리 멍청하지 않습니다. 썩은 뿌리는 [빨]리 잘라야 한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문고리 삼인방만 사퇴를 거부했다죠??..미친 놈들 아니여?? 당장 쳐죽일놈들.. 흐미 열받어요…”  라고  말했다.

미국에 살고 계신 C 씨는 “감정적으론 욕나오지요. 이건 한나라를 자기 소유인양 갖고 놀았어요.  그런데 그렇게 되도록 자본가들과 공조했으니 모두 자유롭지 않다 여겨져요 그러니 분노를 [표출]할 구심점을 갖지 못하고 있다 여겨져요 마음같아선 모두 사형감이에요.”  라고 말했다.

홍콩에 살고 계신 한인 B씨는 ” 좀 참담하죠 … 이젠 임기말까지 통치하기가 어렵겠지요? 혼란을 막고 [이 사건을 수습]정리하기 위해서 대통령은 야당과 협의해서 거국내각을 조각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안그러면 정국혼란이 가중되고 통제불능이 될수도 있습니다. 민주주의를 겁데기만 도입해서 가진 자, 식자들이 유리하게 만들은 법과 제도를 개혁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개헌을 통해서 제왕적대통령제를 바꾸고 외치담당 부통령제를 포함해서 통일이후의 미래를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도와 사람이 함께 중요하지만,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생각하면 올바른 지도자가 나와서 제도를 정착시켜야하는데….. 쉽지않군요… ”  라고 말했다.

미국에 살고 계신 C씨는 ” 대통령이 사과하며 잘못을 시인했으니 책임도 져야겠지요. 그 외엔 잘모릅니다. ”  라고 말했다.

미국에 살고 계신 D씨는  “[한국의]현실은 조선시대만도 못한 무당정치가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조심스럽게 입을 떼었다.

유럽에 살고 계신 K씨는 ” 현지 공관에 소속된 공무원들이 지금 일어나고 있는 사태에 대해 말하길,  개판 오분전이라 했더니… 무슨 소리냐며… 개판 그 자체라고 모두들 성토했다 합니다. 이게 나라 꼴이 뭐냐고 챙피하다는 겁니다.  해외 공관 공무원들도 한국인이라는 자긍심을 잃어버렸습니다.  참   한심한 상황이라. .. 책임있는 뒷정리 안되면 절딴 납니다.”라고 말했다.

유럽에 살고 계신 E 씨는 정동영 국민의당 의원이 28일 ‘비선실세’  최순실씨의 국정농단에 대해 “한국판 라스푸틴 사태” 라고 언급했다고 전언하며,  개성공단,  독도문제,  외교 안보현안까지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최순실 게이트” 에 대해  ‘너무 황당해서 할말이 없다’고 말했다.

뉴질랜드에 살고 계신 B씨는,  “참담함이죠. 오랜시간 노예로 길들여진 대한민국 국민들의 수준과 청산되지 못한 친일역사… 박근혜는 당연히 사퇴해야하구요. 최순실을 비롯한 관계된 모든 사람을 정말 엄벌해야 대한민국의 미래가 있습니다. 우선 역사청소부터…”라고  힘주어 말했다.

호주에 살고 있는 C씨는 “최순실 게이트 사실 자세하게는 모르지만, 창피하고 슬프죠…박 대통령의 무능함에, 화가 나기보다는 너무 슬픕니다…”  라고 말했다.
뉴질랜드의 L씨는 “매일매일 SNS에서 한국의 “Park-Chai gate”에 대해서 직장에서 이 일이 어떻게 된 것인지 저에게 물어보니 정말 창피하고,  기분도 나빠요.  대통령이 무당의 말을 듣고 정치를 했다는 것이 너무 이해가 가지 않는다.”  라고 말했다.
 유럽에 살고 있는  K 씨는,  “책임지고 하야, 법에 의한 처벌을 해야지요”  라고 말했다.
미국에 살고 있는 C씨는 “참 암담하네요~ 믿고싶지 않고 참 하루하루 밝혀지는 새로운 뉴스에 솔직히 맘이 많이 아프네요~ 최순실씨가 빨리 한국에 와서 모든 진실을 밝[혀]야 합니다..”  라고 말했다.
미국에 살고 있는 M 씨는,  “이 사건은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무당이 개입이 되어서 한 나라의 국정을 좌지우지 했어요.  그리고 무당이 권력 서열 1위인 나라가 세상에 어디에 있습니까?  박근혜 대통령이 부정선거를 해서 대통령이 되었잖아요.  그러면 더 잘해서 국민들의 마음을 더 편안하게 해 주었어야 해요.  그런데 뭡니까?  국민들은 지금 어떻게 되었습니까?  세월호의 어린 학생들이 제물로 최태민씨의 천도제의 희생물로 바쳐졌다는 말이 나옵니다.  세상에 어느 천지에 그런 말이 나옵니까?  지금 21세기입니다.  이 문제는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반드시 죄를 따져서 최순실은 극형에 처해야 하며,  박근혜 대통령을 그 자리에서 내려와야 합니다.  그리고 재산은 모두 환수해야 합니다.  그리고 물론 관련자들을 모두 색출해서 법에 따라 응당한 죄과를 치뤄야 합니다.”
미국에 살고 있는 K씨는 “저는 정치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그러나 조국대한민국을 걱정하고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서, 대통령 연설문, 그거 본인이 “이것 함 보고 보완 할곳이 있으면 좀 봐 달라” 고 얼마든지 할수 있는일이라 생각 합니다. ” 라고 말했다.
Photo from Google Images

Photo from Google Images

총 75명을 상대로 해외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디아스포라 한인들에게 여론 조사를 실시한 결과
무 응답 14명,  박근혜가 불쌍하다에 2명,  박근혜를 이해한다에 1명, 한국인으로 창피하고 기분이 나쁘다, 한인으로서 자긍심을 잃어 버렸다 에 9명이 응답했으며,   한국  정치에 대해 관심없다에 1명, 매일매일 SNS  의 기사를 읽고 박근혜 대통령은 이 사건에 대해  책임을지고 하야해야 하고,  국정 농단을 한 최순실을 엄벌에 처하며,  이 사건에 관계 있는 관련자 처벌에 총 48명이 응답했다.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들은 최소 800만여명에 이른 것으로 집계되고 있지만 서류 미비자를 합하면 천만여명이 산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번 무작위 표본 조사에는 모두 익명으로 참가했으며,  미국을 비롯한 유럽,  오세아니아 주, 해외 동포들을 상대로 했으며,  소위 진보라고 말하며,  목소리를 높이는 “미시 USA”  는 꼭 1명이 표본 조사  에 응했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nfirm that you are not a bot - select a man with raised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