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ebol Tax Raise, Society, and Laborers: Viewpoint Change is a Must (이선훈 교수의 일본에서 한국을 보다)

<Japan : Prof. Lee, Sunhoon>

촛불집회에 동참한 모든 국민은 박근혜 정권의 극악무도한 정경유착의 행태를 지켜보며, 한결같이 박근혜 정권의 부도덕성은 물론이고, 대기업과 재벌에 대해서 분노하고 엄중한 처벌을 요구해 왔습니다. 기업들은 전국경제인연합회를 전면에 내세워 이명박근혜 정권기간 중에 법인세를 인하하고 국민의 눈에 보이지 않는 각종의 특혜를 받아 왔습니다. 이것이 극단에 이르러 노동법을 개정하여 해고조건을 완화하려는 시도마저도 있었습니다.  심지어는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산하기관인 자유경제원을 이용하여 역사교과서의 국정화에도 앞장서는 선동행위까지 자행하며 국가를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박근혜가 탄핵되고, 최순실과 함께 재판에 회부되어 심판을 받고 있는 과정에서, 이들 기업의 악덕행위에 대한 엄중한 처벌은 당연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법인세의 인상과 고소득층의 증세에 대하여 국민의 요구와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필연입니다. 그러나 필자는 수치적인 법인세 인상 보다는 실질적인 내수경기부양을 위한 기업의 노력을 요구하고자 합니다.

첫번째의 과제로서 법인세의 인상을 유예한 상황에서 대기업이 모든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신입사원의 채용규모를 확대를 2017년 말까지 결정해줄 것을 요구합니다.

현재의 세계적인 경제상황을 고려하면, 리만사태 이후 지속되어왔던 통화팽창정책을 이용한 경제활성화 정책은 이미 미국에서 2015년 말부터 금리인상을 통해서 통화축소정책으로 전환하였으며, 올해에는 금리인상이 가속되고 있습니다. 유럽의 경우에도 경제우등생인 독일은 물론이고 심각한 경제파탄위기에 직면했던 그리스마저도 경기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유럽중앙은행도 7월들어 금리를 인상하며, 통화축소로 전환할 것이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세계경제가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세계경제가 회복되고 있는 상황이 뚜렷하며, 한국의 경제에서도 수출이 호황을 보이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역대 최대의 흑자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기업의 호황국면은 한국의 내수경기의 회복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기업이 사내유보금만을 증가시키고, 일부를 투자자에게만 할당하므로서 기업으로서의 책무를 다하지 않는 것에 있습니다.

기업이 이익을 산출하는 것에는 경영자의 능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국민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도로, 전력, 공공시설 등의 사회간접자본의 이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비정규직의 지위와 미래가 보장되지 않는 수많은 노동자들과 기업의 제품을 구입하며 불경기를 이겨내게 해준 국민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을 부정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기업의 최대의 사회공헌은 안정된 일자리를 만들어 노동자의 생계를 안정시키고 자부심을 갖게 하는 것입니다.

한국은 IMF사태이후, 신자유주의를 도입하며 기업의 이익창출을 위해서 혼신의 힘을 기울이며, 기업에게 엄청난 특혜를 주어 왔습니다. 그 대표적인 특혜가 비정규직의 확대였으며, 법인세의 인하였습니다. 이러한 모든 일들은 국민의 용인하에 이루어졌다는 것을 기업은 명확히 인식해야만 합니다. 이제 기업은 박근혜 정권에서의 정경유착에 대한 정중하고도 진심 어린 사죄와 함께, 국민이 허용해준 이런 엄청난 특혜에 대해서 보답해야 할 가장 적절한 시기에 직면해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대한민국은 지금 극심한 청년실업률과 고용불안을 겪고 있으며, 이것이 최경환의 경제실정에 의한 가계부채의 급증과 사드도입에 따른 중국관광객의 극감에 의해서 극도의 내수경기침체 상황에 있습니다. 이런 서민경제의 위기상황을 이제는 기업이 나서서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과 동행하며 구해내야 할 차례입니다.

기업에게 올해 2017년 말까지 유예기간을 주고 각 기업별로 규모에 적합한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을 위한 노력을 해줄 것을 요구하고, 이것이 이행되지 않는다면, 법인세의 인상은 물론이고, 기업에 주어진 모든 혜택을 철회하여, 법인세의 수치적인 인상폭 보다 실질적인 인상폭을 더욱 확대하는 처벌적 조치를 행해야만 합니다.

기업이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국회가 이번의 일자리 추경예산을 통과시켜 국민안전을 위한 공무원의 증원이 이루어진다면, 내수경기가 회복되어 국민총생산이 증가하여, 세수의 확대가 가능해져, 국가는 증가된 세수로 더 많은 국민투자를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내수경기가 회복되면, 현재 문제로 삼고 있는 세 부담 국민의 비율도 확대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의 과제로는 노동시간의 축소가 시급합니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OECD 국가 중, 멕시코에 이어서 2위에 달하는 상황에 있습니다. 법정노동시간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초과수당에 의해서 노동자의 소득을 증대하는 중요한 수단임에는 틀림없으나, 무리한 초과근무로 과로사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하며, 노동착취의 전형으로서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국가적인 관점에서 보면, 빈부의 격차를 가중시키는 중대한 요인인 동시에 노동자들간의 이해충돌로 분열양상까지 보여주고 있는 실정입니다.

기업은 법정 노동시간을 엄격히 준수하고, 법정 노동시간 내에서 해결할 수 없는 업무에 대해서는 인력부족으로 인식하여 고용의 확대에 나서야 할 것입니다. 법정 노동시간의 엄격한 준수는 기업이 노동자에게 해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복지제도로서 자리잡아야 합니다. 적절한 휴식이 없는 무리한 노동은 노동자의 생명까지도 위협하는 안전사고의 가장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 입니다. 또한 적절한 휴식은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이며, 기업의 가장 중대한 의무라는 점을 깊이 인식 해야만 합니다.

세번째의 과제로는 경영상태의 투명화로 정당한 세금을 지불하고 공정한 노사협상을 실현해야 할 것입니다.

기업인들 자신이 만들고 성장시킨 자신의 기업에서 자신이 누구보다도 막대한 이익을 챙기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는 인식이 아직도 팽배합니다. 단 한 명의 고용인이 있더라도 기업이 이익을 내는 경우에는 고용인의 공로를 정당하게 인정해 줄 수 있어야만 합니다. 경영자가 기업의 경영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국민의 세금으로 만들어진 재화의 사용에 대한 공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노동자가 납득할 수 있는 상황에서 공정하게 이익을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이익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손실에 대해서도 철저한 원인분석을 통해서 노사간의 책임을 공유하여 위기탈출을 위한 합리적인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업의 경영상태의 투명화는 한국사회에서 경정유착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공정한 사회로 만들어가기 위한 기본이 될 것입니다.

네번째의 과제로는 대기업과 하청 또는 부품기업간의 공정한 거래와 동등한 지위에서의 협력관계의 구축이 절실히 요청됩니다.

대기업은 하청 또는 부품기업에게 무리하게 여겨질 정도의 납품가격을 강요하여 이를 대기업의 이익으로 하는 부분이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소기업의 노동자들은 심각한 노동착취를 강요 받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생산성향상에 따른 이익금마저도 대기업이 모두 가져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신자유주의 경제원리의 영향도 매우 큽니다.

신자유주의 경제는 대기업이 노동착취로 발생할 수 있는 노사갈등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노동집약적인 부분을 분리하여 위성기업으로 만들거나 하청 또는 부품기업으로 이전하며,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기업의 고용창출능력은 극단적으로 저하했고, 중소기업의 노동자들은 노동착취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노사문제와 경영부실에는 대기업의 책임이 매우 큽니다. 심지어는 대기업의 경영자들은 이들 중소기업을 이용하여 비자금을 조성하여 정경유착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하고도 있습니다. 대기업이 이런 신자유주의 경제원리를 적용하지 않고, 중소기업과 공정한 지위에서 거래를 한다면, 대기업은 이들 중소기업을 대기업 내부에 두는 것보다 손실을 입게 될 것입니다. 한가지 장점이 있다면, 대기업이 구조조정을 위해 업종을 변화할 경우에는 유연한 경영을 할 수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따라서 건전한 중소기업의 육성과 고용의 확대를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대등한 지위에서의 공정한 거래가 필수적입니다. 대기업은 방대해지는 조직의 확대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위성기업과 하청 또는 부품기업과의 거래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상대의 중소기업이 안정된 고용환경을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서로간의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관계를 정립해 가야만 할 것입니다.

대기업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에게 공정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것이며, 국민에 의한 혹독한 심판을 받아야만 할 것입니다. 법인세의 인상은 문재인 정부의 개혁과 정책실현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재원이지만, 대기업이 위의 4가지 문제를 실천하여 대한민국의 국민과 함께 건전하게 성장해 갈 수만 있다면, 법인세 인상 이상의 충분한 경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 드립니다.

 

코리일보/COREEDAILY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7,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nfirm that you are not a bot - select a man with raised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