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 Firefighters safe From Fire and All Related Hazards?

IMG_1085

지난 (5월4일-5일 , 현지 시간) 2일 동안 전국 소방서장과 관계자, 관계 기관을 대상으로 소방대원 모집과 소방안전 대책 전국 심포지엄이 Congressional Fire Services Institute 주관으로 워싱턴 힐튼 호텔에서 열렸다. 전국에서 온 소방서 관련 관계자는 “소방대 자원 모집 방안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한 세미나등 관련 세미나가 열리고 있었고, 무엇보다도, 어떻게 자원 소방대원을 정식 소방대원으로 고용할 것인가? 자원 소방대원을 어떻게 모집하며 그것을 위해 어떻게 홍보하는 가? 소방 안전 대책으로 예산은 충분한가? 또는 부족하면 어떻게 이것을 충당할 것인가? 등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의견이 오고갔다.

Composition of the U.S. Fire service  자료에 의하면 2013년 기준 미국안에는 총 30,052개의 소방서가 있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2,477개의 소방서는 정식 소방대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71개의 소방서는 대부분의 소방서가 정식 소방대원, 5,797개의 소방서는 대부분 자원 소방대원으로, 19,807개의 소방서는 모든 소방 대원들이 자원 소방대원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들 중 354,600명이 정식 소방대원으로 고용되어 있으며, 786,150명의 소방대원은 모두 자원 봉사 소방 대원으로 밝혀졌다. 대략 1,140,750명의 소방 대원이 화재 진압등 각종 소방 안전 대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

2014년 기준 총 몇 건의 화재 사고가 발생했는가? 이에 대한 인명 피해와 재난 피해 상황은 어떠한 가에 대한 공식 집계 상황을 살펴보면,

1,298,000 건의 화재 사고가 접수 되었으며, 3,275명이 화재 사고로 사망했으며, 15,775명의 시민이 화재로 인한 부상을 당했으며, $11.6 billion 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494,000건의 건물 화재가 발생했고, 2,860명의 시민이 사망했으며, 12,425명의 시민이 부상을 당했고, $9.8billion 재산 피해가 났다.

93,500건의 차량 화재 사고가 발생했으며, 615,000 건은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와 다른 일반 화재 사건이었다.

2013년 기준 소방서에 구조를 알리는 전화는 총 31,644,500건이 었으며, 화재 사고는 1,240,000 건이며, 응급구조: 21,372,000 건, 잘못된 구조 요청: 2,343,000 건, 다각적인 구조: 1,298,000건, 위험물질 누출사고: 366,500건,  일반 사고: 5,025,5000건 등으로 집계 되었다.

2013년과 2014년 기준 소방대원들의 인명 피해 상황을 살펴보면,

2014년 64명이 화재 진압을 하다 순직을 했으며, 56%인 36명이 화재 진압시 갑자기 심장 마비로 인해 사망했다.

2013년 65,880명의 소방대원들이 화재사고와 관련 부상을 입었으며, 29,760명의 소방대원들이 화재 진압현장에서 사고로 부상을 입었다.

그러면 이들 소방대원을 위한 처우 개선이나 대책은 충분한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소방대원 지원 기금이 있다. 지난 2001년에 시작되어 운영되고 있다. 물론 목적은 소방대원들을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화재와 관련해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갑작스런 사고로 이어지는 소방대원들을 보호하는데 있다. 이 소방대원 지원 기금은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에 관리하고 있다. 소방대원 지원기금은 또 USFA(United States Fire Administration) 과 협조하여 전국에서, 주에서, 그리고 지방 조직에서 화재 예방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화재/안전 기금 프로그램 예산, 적용에 대한 년도별 비교에서 2015년: $ 680,000,000.00, 2016년도 예산, 적용비: $690,000,000.00, 2017년도 예산 신청액: $670,000,000.00 임을 보고 느낀것은 $20,000,000.00 이나 적은 금액이 예산으로 신청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방대원의 화재 진압시 도움을 주는 호흡 보조 장비 미 지급율이 2001년 대비 70%, 2005년 60% 에 비해 51%로 줄었으며, 소방대원의 개인 안전을 위한 위험 경보기 미 지급율은  2001년 62%, 2005년 48%,에서 2013년 기준 39%로 하향되었으며, 이러한 소방대원의 안전을 위한 각종 장비 보급율은 Assistance to Firefighters Grants (AFG)에서 지원을 받고 있다. 만약에 이러한 지원이 없었다면 각종 소방 장비가 노후되어 적어도 13%의 엔진이 2010년 기준 30년 수명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었는데 11%의 엔진만이 2010년 기준  30년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화재 진압시 발생하는 유독 가스 물질로 인해 소방대원들이 가지게 될 불 이익은 우선적으로 건강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피부암, 대장암, 폐암, 흑색종, 중피종, 림프종,등 각종 암에 노출되어 있다고 한다. 물론 이 연구에는 여성소방대원이 포함이 되지 않았고, 소수 민족, 소방 자원 봉사 요원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예산이 삭감된 후, 누가 먼저 그 불 이익을 받을 것인가는 자명한 일이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nfirm that you are not a bot - select a man with raised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