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마시는 한 잔의 시~~ 오월에게/최일우

사진은 최일우님의 방에서 가져옴: 가을과 봄이 적당히 섞여져 있어서 잘 어울림

사진은 최일우님의 방에서 가져옴: 가을과 봄이 적당히 섞여져 있어서 잘 어울림

오월에게

그곳의 오월아
이곳의 오월이야.

그곳은 따스한 봄볕과 아지랭이
이곳은 쌀쌀한 가을비와 천둥번개

그곳은 연초록 푸릇푸릇 새순
이곳은 홍노랑 울긋불긋 낙엽

그곳은 가슴을 열어주는 꽃향기 몽실몽실
이곳은 세상을 배불리는 열매가 주렁주렁

우린 같은 이름의 오월인데 왜 다를까?
어째서 예전에는 몰랐던거지?

그런데말이야
우린 서로 다르지 않은것 같아
여기와 거기의 뿌리가 연결되서
조화를 이루며 살았던 거였어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사랑이었어
이제부터는 더욱 이해하고 사랑하며 살자
고마워 오월아.

 

*** 이번 주가 가장 힘든 주였습니다. 오월이 시작되자 시제를 오월로 드렸습니다.

그런데 세 분의 시가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세 분 다 실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애초 약속했던대로 한 분을 선정했습니다. 시를 선정한 코리 일보 대표의 말을 빌면, “모두 다 훌륭합니다. 그런데 제가 이 시를 선정한 것은 이 시는 여러가지 뜻이 함축되어 있습니다. 서로 다른 곳(참고로, 호주는 지금 가을입니다. 한국은 봄이지요) 에서 서로 다른 느낌으로 바라보는 오월, 그러나 진정 추구하는 것은 조화와 균형, 그리고 사랑이 내제되어 있습니다. 진정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조화, 균형, 사랑이 아닐는지요?” 라고 말합니다.

오월의 장미를 쓰신 조기홍 시인님의 시도 참 좋았습니다. 아름다운 오월, 사랑의 느낌이 흠뻑 담긴 오월, 사랑과 이별, 그것을 감내하면서도 자신을 태워 세상을 밝히는 오월의 장미, 분명 이 세상에 반드시 필요한 영웅이란 의미로 모든 이들의 사랑, 부러움을 받아도 충분한 장미였습니다.

오월 중을 쓰신 김명순 님의 시는 느끼는 이에 따라서는 광주의 오월과 지금의 오월을 한 시점에서 불러내어 쓴 시로  좋은 시입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과 우리가 해야 할 것들 사이에서도 분명 우리가 즐겨야 할 오월은 존재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화, 균형, 사랑…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 균형을 이루고, 서로 함께 함으로서 서로에게 가장 필요한 존재가 되는 것, 사랑은 어쩌면 먹지 않으면 안 될 우리의 정신적인 양분일지도 모릅니다. 생명으로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말입니다.

 

코리일보

Coree ILBO copyright © 2013-2016,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may not be published, broadcast, rewritten or redistributed in whole or part with out the express written permissio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nfirm that you are not a bot - select a man with raised hand: